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에듀테크특성과 유·무형의 교육서비스가 학원의 경영성과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재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원의 재수강의도와 경영성과 향상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사교육은 공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학부모의 의존도를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교육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는 에듀테크특성과 무형적서비스 및 유형적서비스 요인들이 재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각 요인들이 재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학부모와의 라포형성행동이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애듀테크특성 중 콘텐츠와 무형적서비스인 신뢰성과 공감성 그리고 유형적서비스인 유형성과 지불접근성이 재수강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의 교육서비스와 재수강의도 사이에서 라포형성행동이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은 무형적서비스의 공감성과 유형적서비스의 유형성 두 가지 요인이 채택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원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에듀테크특성의 개선과 관리 차원에서 에듀테크의 도입 및 콘텐츠의 최신화와 운영의 안정성 확보를 제안하였다. 둘째, 무형적서비스의 개선과 관리 차원에서 강사의 자질과 역량 향상을 위한 채용관리와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한 지속적 교육으로 전문성 유지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을 바탕으로 한 학생 수준별 교육을 제안하였다. 셋째, 유형적서비스의 개선과 관리 차원에서 적절한 수강료 책정과 온라인, 모바일, 카드, 계좌이체 등 장소와 시간에 구애함 없는 다양한 수강료 납부 방법의 마련과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인테리어와 편의시설 구비를 제안하였다. 또한 라포형성행동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유형성의 개선과 관리에 있어 비용을 수반하는 개선이나 관리도 필요하지만 라포형성을 통해 유형성의 수준이 높다고 느끼게 하는 것도 중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에듀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LLM 기반의 AI기술, AR·VR을 적용한 메타버스 환경구축 등 혁신적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벤처정신을 갖춘 학원에 대한 정부의 기술지원, 벤처인증제도 지원과 같은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교육현장에서 개선하고 관리하여야 할 항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원의 경영성과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기창업생태계를 위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의 시장친화적인 활성화 방안 = Effectiveness and market friendly activation of restricted stock units (RSUs) in the early-stage startup ecosystem :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pproach : 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이하 FGI)중심으로 황보윤, 양영석 p. 1-12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celerating program satisfac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hope : 자기효능감과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기완, 김종성 p. 13-27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이 성장단계별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on business performance by growth stages 김일번, 천동필, 이진수 p. 29-40

혁신형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결정요인 = The determinants of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MEs :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life cycle : 제품수명주기의 조절 효과 김창수, 박종훈 p. 41-53

스타트업의 상장 전 품질 신호 연구 = Study on IPO quality signals for startups : focusing on KOSDAQ : KOSDAQ 시장 중심 손보현, 조대명 p. 55-67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기업가 지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s an influence on sustainability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capabilities : 사회 네트워크 역량의 조절효과 김창봉, 윤태호 p. 69-85

국내 대학의 창업지원 효율성 분석 =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entrepreneurship support in Korean universities 김흥희, 김대건 p. 87-101

온라인 쇼핑몰 챗봇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ntion to use online shopping mall chatbot services : mediating effect of anthropomorphism : 의인화의 매개효과 이채연 p. 103-113

기술투자 평가항목을 활용한 고성장 중소기업 판별 = Analysis of high-growth SMEs using technology appraisal items for investment : focusing on sales and operating profit :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중심으로 이준원 p. 115-125

학원의 에듀테크특성과 유·무형적서비스가 학부모의 재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du-tech and tangible and intangible services of private institutes on parents' intention for re-enroll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rapport-building behavior : 라포형성행동의 조절효과 전지연, 하태관 p. 127-139

Does servant leadership reduce turnover intention? = 서번트 리더십은 이직 의도를 줄이는가? : 잡 크래프팅의 매개 역할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 효과 : job crafting as mediating variables, and stress mindset as moderating variable Piao Juan-xiu, Hahn Ju-hee p. 141-160

푸드테크 스타트업 현황 분석 및 ERIS 모델 기반 성공 사례연구 = Analysis of food tech startups : a case study utilizing the ERIS model 서선희, 박예은, 최재영 p. 161-182

직장인의 학습지향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 = Korean employees' learning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및 창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헌 p. 183-199

구매후기 정보 누적이 온라인 쇼핑몰 제품의 평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cumulation of product review information on the rating of online shopping mall products 이승용 p. 201-214

보건교사의 행동적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health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focusing[실은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task importance : 자기효능감과 과업중요성을 중심으로 박상호, 김경, 강신철 p. 215-229

공공기술을 활용한 혁신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revitalizing innovative startup ecosystems using public technologies 안태욱, 강태원 p. 231-241

산업재산권 및 혁신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industrial property rights and innovation capabilities on performance : focusing on venture firm confirmation system :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을 중심으로 임광혁, 최상옥 p. 243-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