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의 도입 등과 같은 디지털 기반 변화의 시대를 맞아, 2025년에는 수학, 영어, 정보 교과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교육혁신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23년 11월 전국 132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의 수학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이해도, 핵심 기술의 필요성, 수업 활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AI 디지털교과서의 학교 현장에의 안착을 위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대다수 교사들은 수학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과 필요성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였지만, 일부 교사들은 개인별 맞춤형 학습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원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AI 디지털교과서의 학습 진단과 교사 재구성 기능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했으며, 수업에서의 유용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으로 인해 교실에서의 상호작용성은 저하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는 AI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 도입 및 활용을 위해 교사연수 및 정보 제공을 통한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활용 방안 제공, 디지털 과잉 사용 및 의존에 대한 대안 모색, 핵심 기술의 지속적 개발 등, 이와 관련한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제언한다.

In response to the era of transformation necessitating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igital technologies, educational innovation is undertaken with the implementa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n Mathematics, English, and Information subjects by 2025 in Korea.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mathematics AI digital textbook.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November 2023, involving 1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low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and need for mathematics AI digital textbooks. However, some recognized the potential for personalized learning and effective teaching support. Furthermore, among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AI digital textbook, teachers highly valued the necessity of learning diagnostics and teacher reconfiguration functions and had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usefulness in math lessons, while their perception of interactivity was relatively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changing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provision to ensure the successful adoption and use of mathematics AI digital textbooks. Specifically, providing concrete and practical ways to use the AI digital textbook, exploring alternatives to digital overload, and continu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n core technolog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학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 =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n mathematics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needs, and challenges : 초등학교 교사가 바라본 인식, 요구사항, 그리고 도전 김소민, 이기마, 김희정 p. 199-226

한국, 미국, 호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과제 비교 분석 = A study of data and chance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Korea, the U.S., and Australia : 인지적 요구 수준과 발문을 중심으로 박미미, 이은정 p. 227-246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의 정의와 실생활 맥락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the definition and real life context of range of numbers and approximation 강윤지 p. 247-260

수학교육에서 AI 코스웨어의 디지털 유형학적 분석 = Digital typological analysis of AI courseware in mathematics education 손태권, 강다혜 p. 261-279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대수적 사고 기반 수업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lgebraic thinking-based instruction on problem solving in fraction division 박서연, 장혜원 p. 281-301

GPTs 기반 문제해결 맞춤형 챗봇 제작 및 수학적 성능 분석 = Development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analysis of custom GPTs-based chatbots 권미선 p. 303-320

은유의 관점에서 본 분수 개념화의 어려움 = A study on difficulties in conceptualizing fra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etaphor 황현미, 홍진곤 p. 32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