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이 주변 주택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실증 분석 결과가 다양하게 나오는 상황에 착안하여,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과 그를 둘러싼 환경의 다양성을 도시설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시 전체 행복주택 183개 단지를 대상으로 지도 및 거리뷰를 활용해 단지 특성, 인접 인프라 특성, 인접 건물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행복주택 11개 단지에 대한 심층분석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행복주택 공급 지역의 69%에서 근린생활시설의 변화가, 66%에서 도로 및 인도의 개선이, 79%에서 녹지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이는 행복주택이 지역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인프라가 개선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그 영향이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행복주택 공급과 인접 건물 개발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요소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심층분석에서도 일정한 관계를 찾기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임대주택의 외부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공공임대주택을 둘러싼 환경변화 및 연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