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통합교육지원청의 분리‧신설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통합교육지원청 분리‧신설에 관한 정책적, 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통합교육지원청 분리‧신설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지역들의 교원, 직원, 학부모, 일반인, 교육청 및 지자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지원청의 역할 및 지역사회에서의 중요성 측면에서 교육지원청은 학생 및 학교의 특성에 최적화된 교육행정서비스를 지원하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지역특색에 맞는 교육사업을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지원청 분리‧신설의 필요성 및 고려요인의 측면에서 해당 지역의 이해관계자들은 관할 지역 내의 역사적‧문화적 차이와 지역 간 교육수요 및 교육환경의 편차, 도시계획 등에 따른 학생 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업무 증가 및 효율성 저하, 접근성(거리)이나 교통 여건의 불편, 지역별 맞춤형 교육행정 수요의 충족을 통한 지방자치 및 지역발전의 필요 등을 강조하였다. 셋째, 통합교육지원청 분리‧신설 방안에 대해 지방자치단체 조례 위임(2안)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타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지원청 관할 구역 설정의 유연화, 일부 과대 규모 통합교육지원청의 분리‧신설 검토, 교육지원청 효율화를 위한 종합적인 방안 모색 등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도별 학원 교습시간 규제 조례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ordinance on the regulation of Hakwon teaching hours by province 이광현 p. 1-20

지역혁신시스템(RIS) 관점에서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방향 = A plan to promote the regional innovation oriented university support system(RIS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채준원, 탁하연 p. 21-45

학교폭력 예방과 대처를 위한 교사의 교육적 개입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ers' educational intervention experiences to prevent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황연우, 유평수 p. 47-79

초등학교 목적사업비 배분의 형평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equity in the allocation of elementary school categorical grants 우명숙 p. 81-106

대안학교 설립 초기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arly experience of establishing an alternative school 강한호, 이인회 p. 107-135

학교 단위 연수의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 student achievement and lesson comprehension : 학업성취도 및 수업이해도를 중심으로 김경원, 정성수 p. 137-161

지역사회 청소년을 위한 지역교육협력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local education cooperation for youth in the community : focusing on 'Suspended coffee for the youth in Chuncheon City' : 춘천시 ‘맡겨놓은 카페’를 중심으로 신철균, 이영선, 김하아린, 신민종, 김승현, 김효종 p. 163-190

토픽모델링과 단어 의미연결망을 활용한 교육정책 수요 탐색 = Exploring educational policy demands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the Jeonbuk Education Policy Perception Survey : 전북교육정책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이병현, 김란 p. 191-213

통합교육지원청 분리‧신설에 대한 요구 분석 = Analysis of demands for separation and establishment of integrated office of education : focusing on FGI with stakeholders : 이해관계자 대상 FGI를 중심으로 박상완, 이수경, 오세희, 차지철, 이다현, 나민주 p. 215-245

공립유치원에 대한 선호요인 및 요구 분석 = An analysis of parent preferences and needs for public kindergartens 엄문영, 황정훈, 손은애 p. 247-273

서울시 초·중학교 교육격차 양상 변화 분석 = A study on the change in educational dispariti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region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 성별과 가정배경 영향을 중심으로 임희진, 안영은, 이해니 p. 275-305

교육전문직원의 교직경험이 학교지원 역량 보유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impact of teachers' school experience on the school support competencies of educational expert officiers : a case study of 'A' office of education : A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문준식, 김훈호 p. 307-330

역량체계(QF)연계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model focused on QF(qualification framework) 김혜경, 윤지영 p. 33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