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출가 밀로 라우는 2009년부터 역사적 사건을 재연하는 작품을 연속적으로 공연한다. 2009년에는 루마니아 독재자의 몰락을 다룬 〈차우셰스쿠의 마지막 순간〉을 연출하고, 2011년에는 르완다 제노사이드를 주제로 한 〈Hate Radio〉를 공연한다. 2012년에는 노르웨이 극우 테러 사건을 다룬 〈브레이빅의 선언〉을 연출한다. 본 논문은 밀로 라우의 재연-3부작 중에서 두 번째 작품인 〈Hate Radio〉를 분석한다.
〈Hate Radio〉는 1994년 르완다의 다수 민족 후투족이 소수 민족 투치족을 학살한 사건을 다룬다. 제노사이드를 재연하기 위해 밀로 라우는 르완다의 RTML 라디오 방송을 선택한다. 이 방송은 제노사이드 기간 동안 최신 유행음악부터 스포츠 뉴스, 퀴즈, 청취자 참여 코너까지 다양한 오락거리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인종학살을 부추기는 역할을 했다. 그래서 소수민족인 투치족을 악마화 하고, 인종간의 증오를 불러 일으켰다.
본 논문은 〈Hate Radio〉의 공연 텍스트를 분석한 다음, 밀로 라우의 재연-텍스트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먼저 밀로 라우의 재연 연극 특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텍스트에 포함된 폭력의 언어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청각적 클로즈업 기법이 관객의 몰입과 성찰을 동시에 이끌어 낸다는 점을 분석한다. 그래서 과거 사건의 재연이 현재 관객의 윤리적 결단을 촉구하고, 제노사이드 및 폭력의 순환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요청한다는 점을 살펴본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