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진로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수행되었다. Hirschi(2012)의 진로자원모델을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자원의 잠정적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두 차례 실시하여 대학생 진로자원의 초기모형을 도출했다. 진로심리자원, 진로지지자원, 기술능력자원, 대학환경자원의 범주영역으로 나뉘며, 구성요인은 자기주도성, 진로자신감, 진로정체성, 위기극복능력, 개방성, 가족 진로지지, 사회적관계 진로지지, 직업시장 이해, 외부지원 활용능력, 구직기술능력, 대학 교과지원, 대학 비교과지원, 대학 제도지원이다. 이어서 Hirschi 외(2018)의 진로자원질문지(CRQ)와 국내 유사척도를 참고하고 대학생 대상의 개방형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여 예비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37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13개 요인과 61개의 측정 문항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대학생 901명을 표집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문항은 양호한 모형적합도를 나타냈으며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모두 기준을 충족하였다. 또한 대학생 진로자원 관련변인인 진로적응성,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준거타당도를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 진로자원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2로 나타났으며, 요인 각각의 신뢰도 계수 또한 .818~.937의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업상담 및 비밀보장에 대한 내담자 인식 및 경험 탐색 = The client'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confidentiality in workplace counseling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합의적 질적 연구 변시영, 성예경 p. 815-847

상담자의 친족성폭력 피해자 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counselors' experiences in counseli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within the family 김소현, 정문경 p. 849-874

부부 용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rital forgiveness scale 조영주 p. 875-904

한국판 성인진입기 척도(K-IDEA)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inventory of the dimensions of emerging adulthood (K-IDEA) 김대희, 김명식 p. 905-930

부모따돌림 피해부모의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ents victimized by parental alienation 송미강, 송은희, 성조은 p. 931-965

한국판 영적 대처 척도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coping questionnaire 이수아, 신지은, 이혜지, 강영신 p. 967-997

한국 대학생 진로자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resources scal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이수진, 김봉환 p. 999-1036

사별경험자의 자살위험도 예측요인 검증 = A 15-month longitudinal study on the prediction of suicidal risk by type of bereavement : 사별유형을 중심으로 한 15개월 종단연구 엄희준, 이동훈 p. 1037-1063

긴장성 부동성과 경험회피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onic immo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rusting body sensations : 신체감각 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 고효경, 강영신 p. 1065-1099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entrap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조영숙, 신효정 p. 1101-1124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으로 조절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controlled b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among college students 장지은, 하정희 p. 1125-1147

자기애성 성격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정서조절 양식 차이 검증 = Latent profile analy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 differences i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금도연, 유금란 p. 1149-1173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 내면화된 수치심, 자살생각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지민경, 남숙경 p. 1175-1195

신혼기 부부의 자기침묵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ilencing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newlywed couples : actor and partner effects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강예나, 장재홍 p. 119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