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난이도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of the on the difficulty policy of the English languag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 from 1993 to 2022,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강영애, 김건아, 정제영 p. 1-17
밀레니얼 세대의 대학시절 진로발달 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areer development pattern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during college 이경미 p. 19-36
중등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essay-type assessments 김형성 p. 37-52
조리 전공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전도현, 박미마 p. 53-64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온라인·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비교와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omparison and mutual influence of online and offline self-regulated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김주현, 이경숙 p. 65-86
초등 6학년 대상 영어 뮤지컬 수업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English musical class for EFL primary school students 박희원 p. 87-104
대학생의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 on academic outcomes and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김수진 p. 105-119
Q방법론 적용을 위한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관한 탐색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etenc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pplying Q methodology : focused on FGI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 중고등학교교사의 FGI를 중심으로 정희정 p. 121-134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인식과 사용 연구 = A study on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and use of writing strategies for academic report 김보현 p. 135-149
팬데믹 기간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언론보도 양상 분석 = Analysis of media coverage of foreign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이현주 p. 151-171
그림책 연계 로봇놀이가 만 5세 유아의 이야기이해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icture book linked robot play on story comperhension[실은 comprehension] and creativity of 5-year-old children 안지수, 남기원 p. 173-189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조모의 자아통합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 narrative therapy group program on the ego-integrity and parenting efficacy of custodial grandmother 이수경 p. 191-204
한⋅중 반의어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antonyms in Korean and Chinese : focusing on antonyms for Korean learning :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전정 p. 205-221
청년 미혼 여성의 원가족 특성과 부모부양의식 = Unmarried young adult women’s perceptions of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and related factors : with focus on their family of origin 김소영 p. 223-237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경험한 사회적 갈등과 양육부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f soci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parents with young children 조형숙, 김수오 p. 239-253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dep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random forest 윤가영, 이성심 p. 255-271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맞춤형 영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for developing tailored English program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이금란 p. 273-290
문화 어휘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cultural vocabulary : for advanced Chinese learner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정 p. 291-305
대학 내 성인학습자의 법학교육 참여 경험 분석 = The analysis of adult learners' experience in legal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school 황영아, 한명진 p. 307-322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기개념명확성이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parenting anxiety of parents with infants and children : medi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 물질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 강현희, 이지연 p. 323-342
비자살적 자해상담 상황별 적절한 개입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 Delphi survey study on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nonsuicidal self-injury counseling situations : focused on the school counseling field : 학교상담현장을 중심으로 조항, 김신애, 금창민 p. 343-358

영유아 어머니의 부모역할 인식과 부모교육 필요성이 부모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al role perception and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on the demands for parental education in mothers of young children 조원주, 정수진 p. 359-378
총론과 각론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 Exploring organization of subject curriculum for improvement of coherence betwee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윤지영, 온정덕 p. 379-399
영유아 보조교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assistant teachers 이상선 p. 401-415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살펴본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course 김의정, 표시연 p. 417-432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school vioence victims 임경진, 여미정 p. 433-449
3~5세 손자녀의 식사 돌봄을 지원하는 조모의 인식과 역할 탐색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perception and role of grandmothers in the feeding of grandchildren aged 3~5 years 손영선, 계승희 p. 451-466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설계 방법 탐색 및 인식 변화 연구 = Exploring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nd perception changes using generative AI : a case study from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A 교육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서희정, 채민정, 이종연 p. 467-485
고등학교 남학생이 인식한 학교분위기가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mood on democratic citizenship : focused on the mediating social competence : 사회적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이병임 p. 487-496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대학생의 글쓰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writing courses 금선영, 박선영, 허선영 p. 497-507
Understanding learner agency = 학습자 에이전시 분석 : 중국 대학 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in a Chinese university English classroom Xinxin Dai, Jungyin Kim p. 509-532
유아 부모의 자녀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Awareness and needs for media regul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for parents 장인수, 조준오 p. 533-553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stress coping and colleg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고인순 p. 555-565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학업열의, 협동심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academic engagement, and student's cooperation : focusing on pre- and post-COVID-19 periods : 코로나 이전과 이후 비교를 중심으로 강서현, 정혜원 p. 567-582

치기공(학)과 실습용 샘플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3차원적 분석 = The 3-dimensional evaluation of validity of sample models for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남신은 p. 583-592
공군 초급간부의 핵심가치 내재화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ternalizing core values among air force entry-level military officer on posttraumatic growth :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이예림, 조경숙 p. 593-60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adap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원, 정혜원 p. 609-625

그림책 읽기를 통한 유아의 언어발달 변화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강나라, 정기섭, 홍성호, 강혜원 p. 627-643
한중 유아 음악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early childhood music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China 상걸 p. 645-655
AI 시대 국어과 디지털 활용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d digital education in the age of AI : effects of digital team presentation video production class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and learning experience :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양일동 p. 657-672
신중년의 정신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문제음주 간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ntaliza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drinking in new middle-aged :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types :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도진희 p. 673-690
스포츠에서 ‘초월적 페어플레이’의 구체적 구분과 정의 = Specific distinction and definition of 'transcendental fair play' in sports 김도형 p. 691-702
제주형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 다차원 분석 연구 =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 integrated support policy for students in Jeju style 임희숙 p. 703-722
예비 체육교사의 융·복합 체육수업을 위한 수업실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lassroom practice for convergence and multidisciplin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physical education theory lecture : 교육대학원 체육교과교육론 수업을 중심으로 함지선 p. 723-736
수퍼비전 관계 국내외 연구 동향 = Supervision relationship in Kor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from 1988 to 2023 : 1988년 ~ 2023년까지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정민현, 최한나 p. 737-755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 A study on perception type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한솔 p. 757-778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 및 역할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ccountability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고현, 박현성, 박신희 p. 779-793
Navigating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 투자와 협력의 탐색 : 한국 작문 수업에 참여한 우즈베키스탄 학부생 연구 : a study of Uzbek undergraduates in a South Korean writing course Zhang Jiayu, Kim Jungyin p. 795-818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의 자살위기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the suicidal crisis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residing in Korea 최기현, 이영미, 하정희 p. 819-834

외국인 유학생 진로관련 연구동향 분석 = Trends in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research : a scoping review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김세연, 김보영, 유영만 p. 835-850
북한이탈 후기청소년의 대학 진학의 의미에 대한 탐구 =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university experience for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김보미, 이정민 p. 851-866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자기분화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ing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자기침묵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은혜 p. 867-881
봉사학습론과 적극적 시민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Critical review of citizenship discourse and service learning : focusing on the 'active citizenship' of the third way policy and critical discussions about it : 제3의 길 정책의 ‘적극적 시민성’과 그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미란 p. 883-902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분석과 특성 선정을 통한 숙달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Research on analysing Korean learners' vocabulary usage and selecting features to develop a proficiency prediction model 허원진, 김재욱 p. 903-914
동료평가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동료돌봄행위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eer group caring behaviors o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utilizing peer evaluation : a mixed methods study : 혼합연구방법 서지영, 정애리 p. 915-933
긍정심리학 관점으로 바라본 골프 여가활동의 경험과 의미 =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leisure golf activities from a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고문수 p. 935-951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오류 연구 = A study on passive voice errors of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방원 p. 953-972
SNS 신체이미지 게시물이 여대생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 The negative effects of SNS body image posting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difference between the self-concept clarity groups : 자기개념 명확성 집단 간 차이 전아영, 정여주 p. 973-985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motion cognitive imit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현광석, 박정민 p. 987-1000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tress coping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이현희, 양승희 p. 1001-1013
비대면 생명과학 교수학습 상황에서 명시적 정보 제공이 초등학생의 인지 사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xplicit information provision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thinking in online lif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 an EEG study : 뇌전도 연구 권석원 p. 1015-1027

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percep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online classes : focusing on the cases of teachers in the Chungnam region : 충남 지역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상, 김혜진 p. 1029-1044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with colleagues and managers of psychologically exhausted secondary school teachers 오승욱, 유형근 p. 1045-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