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조선후기를 살았던 윤기의 『무명자집』 문집에서 자녀와 관련된 한문학 자료를 중심으로 아버지의 자녀교육관을 영유아기, 학령기 및 청장년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19책 2474제(편)의 작품에서 86제(편)를 선정하여 미시사적 접근으로 분석하였고, 각각 자녀관, 교육목표,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유아기에는 하늘이 점지해 주는 개별적인 존재로 자녀를 보면서 필요에 따라 순리대로 지도하고자 하였고, 학령기에는 주어진 재능보다 실력을 만들어가는 존재로 자녀를 바라보면서 옛 글을 곱씹어 읽으며 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가르쳤다. 청장년기의 자녀는 가문을 이어가는 존재로, 후손에게 사람됨의 도리를 일찍부터 심어주어야 한다는 자녀교육관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오늘날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교육에 대한 시사점으로 ‘敎·育·慈(교·육·자)’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ther's view on children's education as expressed in Yun Ki's 『Mumyungjaj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dividing it into infancy and toddlerhood, school-age, and young adulthood periods. We selected and analyzed 86 articles(sections) from 19 books and 2,474 articles(sections) using a microstoria approach. For each perio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children's views,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In the infancy and toddlerhood period, children were viewed as individual beings sent from heaven who were guided by their needs. In the school-age period, children were viewed as beings who gradually developed their abilities instead of having inherent talents. In the young adulthood periods, children were viewed as the ones who carry on the family, and a view of education could be found that the morality and ethics of humanity should be taught to descendants at an early age. This study suggested ‘敎·育·慈’(educating·caring·loving)’ a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fa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toda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그림책 활용 생태유아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창조세계 특성에 대한 인식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iblical creation revealed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 using picture-books 김정원, 이수형 p. 1-27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한 사람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은유 분석 = A metaphor analysis of happy people and conditions of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송연숙, 이수연 p. 29-52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일상스트레스, 문제해결력,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 Path analysis of job stress, daily str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이소정, 송주연 p. 53-76

유아기 교육격차에 대한 교사 개념도 분석 = Exploring teachers’ concept mapp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gaps 서보순 p. 77-110

윤기의 『무명자집』에 나타난 아버지의 자녀교육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ther's view on children's education shown in Yun ki’s 『Mumyeongjajip』 김정미 p. 111-141

음식쓰레기 줄이기 프로젝트 활동 기반 지속가능발전 교육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problem-[s]olving skill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reduce food waste 황유경, 권이정 p. 143-167

인간-너머 돌봄의 영유아교육과정을 향한 시론 = Remapping early years curriculum toward more-than-human caring 이경화 p. 169-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