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쿤데라의 소설 『무의미의 축제』의 화자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아 이 작품의 구조 그리고 이에 따른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쿤데라의 다른 소설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작품의 화자도 전통적 소설의 화자와는 매우 다르다. 하지만 그는 때로는 명시적으로, 때로는 암시적으로 소설의 구성과 의미에 대해서 언급하며, 이러한 메타 서사적 기능은 이 소설의 구성을 관통하는 씨줄과 날줄을 밝혀주는 단서가 된다. 이 소설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발화 체계도 읽기의 방향을 가리키는 나침판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서들을 따라가다 보면, 『무의미의 축제』는 매우 정교하게 구성된 소설임을 알 수 있다. 기실 이 소설은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두 갈래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파리에서 평범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 범속한 일상과 소비에트 공화국 시절의 역사적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 사건들이다. 이 두 갈래의 사건을 연결하는 것은 선택하지 않았지만, 품에 안고 살아가야 하는 개인적 진실의 절박함이다. 결국 무의미의 축제는 이 두 무리의 인물들이 허구 속에서 만나 벌이는 축제를 의미한다.
Notre étude a pour but d'examiner le rôle et la fonction du narrateur dans le roman La Fête de l'insignifiance de Milan Kundera, afin d'éclairer sa structure et son sens. Comme dans les autres romans de Kundera, le narrateur de cette œuvre est très différent de celui des romans traditionnels. Cependant, il commente parfois explicitement, parfois implicitement, la composition et le sens du roman, et cette fonction métanarrative fournit des indices sur la trame et la chaîne qui traversent la structure de ce roman. Les deux systèmes d'énonciation utilisés dans ce roman servent également de boussole pour indiquer la direction de la lecture. En suivant ces indices, on peut constater que La Fête de l'insignifiance est un roman très minutieusement construit. En fait, ce roman est composé de deux lignes d'événements apparemment sans rapport. L'une concerne la vie quotidienne banale des personnages ordinaires à Paris maintenant, l'autre des événements centrés sur des figures historiques de l'époque de l'U.R.S.S. Ce qui relie ces deux lignes d'événements est l'urgence d'une vérité personnelle qu'on n'a pas choisie mais avec quoi on doit vivre toujours. Finalement, la fête de l'insignifiance signifie la fête que ces deux groupes de personnages organisent ensembe dans la fictio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을 통해 본 밀란 쿤데라의 소설 속 매스미디어의 이미지 연구 = Le mass media dans les romans de Milan Kundera et l’industrie culturelle d’Adorno | 노란 | p. 8-34 |
|
|
밀란 쿤데라의 소설 『무의미의 축제』의 화자와 의미 효과 = Le narrateur et l'effet de sens dans La Fête de l'insignifiance de Milan Kundera | 한용택 | p. 35-68 |
|
|
폴 엘뤼아르 시 속 창문 이미지 연구 = Une étude sur l’image de la fenêtre chez Paul Éluard | 도윤정 | p. 69-99 |
|
|
롱사르 시에 나타난 장미의 상징성 연구 = Une étude sur la symbolique des roses dans la poésie de Ronsard | 손주경 | p. 100-142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