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웹드라마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여 방송 드라마와 경쟁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간 광고의 한 형태인 창의중차(创意中插)가 온라인에서 등장하면서 새로운 광고 형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창의중차는 줄거리, 캐릭터, 출연진 등을 웹드라마와 공유한다는 점에서 기존 광고와 차별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시청자의 관심을 끌고, 광고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웹드라마와의 경계를 흐려서 시청 흐름을 방해할 우려도 있으므로, 웹드라마의 몰입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광고를 제작하여 드라마 제작진과 광고주 모두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모두 창의중차의 광고 효과에만 집중하고 있다. 창의중차가 웹드라마의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기 위해 창의중차의 특성 6가지를 설명 변수로 채택하고,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나이가 어릴수록, 하루 이용시간이 길수록 웹드라마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줄거리의 어울림, 캐릭터의 일치성, 광고 시간, 광고 태도 등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캐릭터의 이미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줄거리의 연관성은 설명력을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적인 정보들은 웹드라마와 창의중차 제작자, 광고주 등이 창의중차를 활용하여 새로운 광고 시장을 개척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통령실 뉴스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콘텐츠 양식의 효과 = Effects of media contents modality used in the office of the president’s news on users’ memories,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 intentions : the moderating role of style of processing : 이용자의 기억, 신념,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처리양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지예, 정세훈 p. 7-47

한국 미디어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결정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students attending media-related departments in Korea : focusing on motivation to study abroad, professor support,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barriers : 유학 동기, 교수 지지, 전공 만족도, 진로 장벽을 중심으로 이양, 이정기 p. 49-84

중국 웹드라마의 창의중차(创意中插) 광고가 극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f creative mid-roll advertisements on audience immersion in Chinese web dramas 중안나, 변상규 p. 85-112

Effects of message consistency across multiple ads : the moderating role of media multitasking Se-Hoon Jeong, Minhwa Jung, Young-eun Kim p. 113-148

"뉴스레터가 도착했습니다” = Inbox insights : how newsletter format affects attitude, perceived interactivity, intention to subscribe, word-of-mouth, and news credibility : 뉴스레터 구성방식이 태도, 인지된 상호작용, 지속이용의도, 구전의도 및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화, 오현지 p. 149-182

디지털 환경에서 방송기자들의 딜레마 = The dilemma of broadcast journalists in the digital environment : between communication and harassment : 소통과 괴롭힘 사이 임유진, 김학재 p. 183-240

OTT 서비스 이용량과 플랫폼 집중도에 따른 이용자 세분화 연구 = A study on the segmentation of OTT service users based on usage volume and platform concentration 정혁준, 노단, 백현미 p. 241-275

TV 방송 제작진의 생성형 AI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generative AI technology by TV production staff : focusing on staff perception : 제작진 인식을 중심으로 조서윤, 이영주 p. 277-310

홉스테드의 집단주의는 국내 신문 재난 보도에 어떻게 투영되는가? = How is Hopstead’s collectivism reflected in Korean newspaper disaster coverage? : comparing opinion, commentary, and straight articles in conservative and liberal outlets : 보수·진보 매체의 의견·해설·사실 기사 비교 이완수, 허만섭 p. 311-348

연사의 유형이 연사 신뢰도와 스피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peaker type on speaker credibility and speech effect of persuasion :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audience’s persuasion knowledge and speech quality perception : 청중의 설득지식과 스피치 품질지각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희승 p. 349-383

소셜미디어에서의 자기제시와 상대적 박탈감과 외로움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presentation, relative deprivation and loneliness on social medi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media use patterns :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자준, 김영빈, 문미진, 한혜경 p. 385-430

1960~70년대 국가주의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촉각적 설득’ = The ‘tactile promptings’ of television drama and nationalism in the 1960s and 1970s : the early understanding and social acceptance of television media on the emergence of television in Korean society : 텔레비전 출현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수용 이종숙 p. 43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