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영어와 달리 일부 학생들만 선택적으로 수강하는 교양 제 2외국어 수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독일 문화와 관련된 주제중심의 수업을 기획하여 그 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양 독일어Ⅰ을 주제중심으로 진행한 실험집단이 교재중심으로 진행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기초 독일어 읽기와 독일어에 대한 흥미, 자신감, 태도, 동기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사전, 사후 독일어 발음의 정확도 및 속도를 측정하는 읽기 테스트와 정의적 영역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교수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발음 및 읽기 속도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어렵고, 학습 동기가 중간고사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초보 학습자들에게 독일어 발음은 생소할 뿐만 아니라 익숙한 영어식 발음의 전이(interference)와 난이도가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탈동기 현상과 관련이 있다. 또한, 주제중심 수업의 확장 단계에서 수행한 다양한 독일 문화관련 과업수행은 독일어 학습을 실용적으로 느끼게 만들며, 학습자의 외향성 같은 외적 요인이 수업 분위기와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제중심반이 교재중심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는데, 이는 문화 교육과 실제 언어 사용 경험의 통합적 접근이 독일어 학습을 유의미하게 만들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다양한 영역의 문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제 2외국어 수업과 연구에 실증적 데이터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연구에 참조가 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Investigating phrasal features in CLIL and non-CLIL writing through an NLP tool = NLP 도구를 활용한 구문적 특징에 관한 CLIL 교수법의 효과 Jongbong Lee p. 1-14

(The) effects of language mindset interventions on L2 motivation, learn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 언어마인드셋 개입이 제2언어 학습 동기, 학습 행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Younie Jang p. 15-35

L1-한국어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L2-영어 읽기요인과 단어인지의 직·간접 효과 =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L2 reading components on L2 word recognition in L1-Korean L2-English 4th graders :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백승현, 한민정 p. 37-56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역할극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비교 = Comparison of teache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role-playing in Korean language speaking classes 김현진, 이정연 p. 57-72

주제 중심과 교재 중심 교양 독일어 수업에서 대학생의 읽기,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ading, affective domai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me-based vs textbook-based German classes 이주은, 표시연 p. 73-95

Effects of written and video feedback on Korean elementary EFL students’ revision, writing skill, and perception = 문자 피드백과 비디오 피드백이 한국 초등학생의 피드백 반영, 인식 및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Sie Nae Han, Hyun-Woo Lim p. 97-123

영어 동시 소리 내어 읽기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읽기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ading children's poetry aloud on elementary English learners' reading fluency and affective domain 위영은, 안경자 p. 125-149

블렌디드 러닝의 제2 언어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 내 효과 =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L2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 analysis of L2 learners' reflective logs and interactions : 학습자의 성찰일지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허순주, 손명은 p. 151-172

Analysis of lexical sophistication using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 = 자연어 처리 도구를 사용한 어휘 정교성 분석 : 영어 그림책 코퍼스 연구 : a corpus study of English picture books Jieun Ahn, Ji-Hyun Park p. 173-189

(An) explorator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toward English learning through using authentic audio-visual materials = 실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연구 Hyekyeng Kim p. 191-208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영어-내용 통합 교육의 효과 = The effects of integrating English an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on English learning 박보경, 노경희 p. 209-232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utput and opportunity for modified output on second language learning = 출력과 수정적 출력의 기회가 제2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 Bo-Ram Suh p. 23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