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그림책의 수준에 따른 어휘적 정교성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TOS 수준 0에서 5에 이르는 107권의 그림책 텍스트를 수집하여 구축한 코퍼스가 사용되었다. 각 그림책에 사용된 어휘는 자연어 처리를 통한 자동 어휘 분석 도구인 TAALES 2.0 (Kyle & Crossley, 2015)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단어에 대한 단어 빈도, 사용 범위 및 심리언어학적 정보(친숙도, 구체성, 이미지화 가능성, 의미성, 습득 연령)와 관련한 지수들을 계산하여 책의 수준을 나타내는 ATOS 수준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TOS 지수가 높아질수록 사용 단어의 빈도 및 범위와 관련한 지수가 하락하여, 상위 수준의 책일수록 덜 일반적이고 활용 범위가 좁은 단어가 포함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 어휘의 심리언어학적 특성 또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는데, 상위 수준의 책일수록 덜 친숙하고 다른 단어와의 연관성이 낮으며, 습득 연령이 높은 단어가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어의 구체성 및 이미지화 가능성은 상위 수준의 책일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급 수준의 그림책이 더 정교한 어휘를 포함하고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어린 제2언어 학습자에게 풍부하고 다양한 언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의 어휘적 특징과 수준을 고려하여 읽기 자료를 신중하게 선정하는 것이 제2언어 어휘 발달을 촉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lexical sophistication in children's picture books across different reading levels. We analyzed a corpus of 107 picture books (Park & Ahn, 2021) across ATOS levels 0-5 using TAALES (Kyle & Crossley, 2015),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 Lexical indices including word frequency, range, and psycholinguistic information (familiarity, concreteness, imageability, meaningfulness, age of acquisition) were computed and compared across book levels. Results revealed that as book levels increased, word frequency and range decreased, indicating higher-level books contain less common words with narrower usage. Psycholinguistic features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words in higher-level books were less familiar and meaningful, but more concrete, imageable, and acquired lat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level picture books employ more sophisticated vocabulary, underscoring their potential as a valuable resource for exposing young L2 learners to rich and diverse language. Our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choose picture books considering specific lexical features and reading levels. Such careful selection is crucial for achieving language teaching goals and enhancing vocabulary development.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