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에서 학습 부진을 예방하기 위해 AI 디지털교과서 학습맵을 기반으로 진단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최소 성취 수준 미도달, 학습 부진, 학습 속도 차이, 일시적 사고 등 다양한 학습자 상황에서 발생하는 학습 격차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성취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 학습 과정에서의 평가, 상시 평가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라 개별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학습 격차를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 객관식 진단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특히,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누적된 학습 결손을 파악하기 위해 AI 디지털교과서 학습맵에서 초, 중, 고의 연계성을 가지는 내용에 중점을 두었다. 문헌 고찰, 전문가 검토,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진단평가 문항은 학습자의 기본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평가하여 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조기에 식별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단 평가 문항의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 계수 0.865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2차 전문가 검토 후 모든 문항의 내용타당도 비율(CVR)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내용타당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진단평가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의 학습 결손을 교사가 미리 파악하고 적절한 처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등 교사를 위한 미래문제해결 프로그램 기반 정보, 과학, 수학 교과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연수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based informatics, mathematics,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ourse using AI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이다겸, 이영준, 백성혜 p. 1-11

생성 AI를 활용한 NCS 직무능력 평가를 위한 자동문항생성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methodology of NCS-based job competency assessment items using generative AI : focused on GPT4-o based information security analysis competency unit : GPT4-o 기반 정보보호 분야 침해사고 분석 능력단위 중심 이재식 p. 13-25

생성형 AI를 활용한 협력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 탐색 = Comparison of the interaction patterns in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박하나 p. 27-34

중학교 수학 기반 AI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cus on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김진희, 김동심 p. 35-46

딜레마 토론 기반 인공지능 윤리교육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I ethics education model based on dilemma discussion 김은경, 이영준 p. 47-56

AI 디지털교과서 학습맵에 기반한 정보 교과 진단평가 문항 개발 = Development of informatics subject diagnostic assessment questions based on AI digital textbook learning map 이정숙, 최현종 p. 57-66

Screening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nd risk factors : a machine-learning approach Seon-Hi Shin, Bossng Kang, Myung-Suk Woo, Youn-Ju Park p. 67-78

메타버스 ZEP을 활용한 청소년 대상 자기공감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self-empathy program targeted at adolescents using metaverse ZEP 최선영, 김소영, 강정애 p. 79-88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데이터 리터러시 지식의 깊이(Depth of Knowledge) 분석 = An analysis of the depth of knowledge in data literacy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문현우, 손정명, 이시훈, 이영준 p. 89-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