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한국 정부는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의 도입을 통한 이주민의 적극적인 유입과 지역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재외동포와 이주민(유형 2)의 정주화를 위한 지역대학의 정주지원 플랫폼 역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주의 관점에서 지역특화형 비자제도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지역 거주 재외동포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주에 필요한 현안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국내에 유입된 재외동포는 다양한 목적과 이유에서 귀환하였기에 이주민의 전반적인 현안과 요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다양한 이주민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민의 정주화에 장애 요소로 크게 통합적 지원과 접근성 부족, 교육 기회의 부족, 돌봄 체계의 부족, 건강 및 보건 정책의 제한과 배제, 문화적 권리에서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장애 요소를 해결하고, 이주민 정주지원 사례로써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수행한 한국장학재단 다문화·탈북 학생 멘토링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이주민 정주지원 거점으로서 대학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역대학은 이주민의 지역 정주와 관련된 다양한 요구들에 대응하는 인적 제도적 자원의 보고이자 거점으로써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