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한탄강화형 〈여자자탄가〉에서 '여자 신세'를 보는 문제의식과 의미 = The critical mind and meaning of viewing 'women's life' in lamentation-enhanced 〈Women's Self-Grief Song〉 / 최규수 1

차례 1

국문개요 1

1. 서론 2

2. 대상자료에서 '여자 신세'를 보는 문제의식 3

2.1. 〈녀자탄〉 : '행/불행(幸/不幸)'에 대하여[이미지참조] 3

2.2. 〈장사탄〉·〈광사탄니라〉 : '유/무식(有/無識)'과 '유/무용(有/無用)'에 대하여 5

2.3. 〈여자탄식가〉·〈여자가라〉 : '인간 재미'와 '사람값'에 대하여 6

3. 대상자료의 특징적 국면이 갖는 의미 9

3.1. '여자 신세'에 대한 논리적 접근 가능성 9

3.2. 한탄의 방향성과 작품 명명(命名)의 의미 12

4. 결론 16

참고문헌 17

Abstract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화(發話)하는 죽음, 면천(免賤) 조이[召史]의 명정(銘旌) = Death that speaks : Myeongcheon (免賤) Jo-yi[召史]'s Myeongjeong (銘旌) 김수연 p. 5-32

보기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여성 소설의 퀴어 시간성 연구 = A study on the queer temporality of women’s novels after the feminism reboot : 안담·천희란·전하영 소설을 중심으로 신현민 p. 33-64

보기
김미현 문학의 도정 = The passage of Kim Mi-hyun’s literature : from women’s literature to cultural translation, a world crossed in cursive : 여성문학에서 문화번역까지, ‘손글씨’로 가로지른 세계 이은선, 허윤 p. 65-99

보기
근대전환기 장애인(障礙人)의 재현 양상과 시선 고찰 = Research on view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literary representation in “Byeongingan Chinhoe Rok”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 <병인간친회록(病人懇親會錄)>을 중심으로 구선정 p. 101-131

보기
한탄강화형 <여자자탄가>에서 ‘여자 신세’를 보는 문제의식과 의미 = The critical mind and meaning of viewing ‘women's life’ in lamentation-enhanced <Women's Self-Grief Song> 최규수 p. 133-151

보기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의 현대시 강의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lectures in modern poetry to supplement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H university's 'Story of Our Literature' lecture : H대학교 ‘우리문학의이야기’ 강의 사례 중심으로 전지윤, 김영미 p. 153-178

보기
장기구득 의사소통 교육의 내용과 방식 = The content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organ procurement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rgan procurement coordinators : 장기구득 코디네이터의 의사소통 교육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김정선, 박용익, 진정근, 이정우, 이혜용 p. 179-206

보기
외신 기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 Text linguistic analysis on trans-edited news articles 조정민 p. 207-238

보기
국문 장편소설 속 이념적 여성의 현실 대응 : 『완월회맹연』의 이자염을 중심으로 한정미 p. 239-254

보기
최영미 시에 나타난 아이러니와 연대의 미학 김민지 p. 255-281

보기
국경과 고전시가, 그 접점에 대한 통찰 [서평] 최지혜 [평] p. 283-29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