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글 읽고 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교육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글 읽고 쓰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 원인에 따라 진단이 달라져야 한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는 난독증 진단 도구는 장애의 영역, 단순 한글 미해득, 난독증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한다. 따라서 한글 읽고 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을 난독증으로 과도하게 진단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난독증 진단을 위한 전제 조건과 핵심 원인을 기반으로 진단 과정을 체계화한다.

1 단계 진단에서는 전제 조건 1에 해당하는 정상적인 청각·시각·인지 능력에 대해 확인한다. 2 단계 진단에서는 전제 조건 2에 해당하는 한글 교육 기회 제공에 대해 확인한다. 3 단계 진단에서는 난독증 진단을 위한 핵심 요소인 ‘문자와 소리의 연결 능력’에 대해 확인한다. 1 단계 진단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청각·시각·인지 장애, 2 단계 진단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한글 미해득, 3 단계 진단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난독증으로 진단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설명문 쓰기 수업에 대한 국어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구 = Explo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bout writing expository texts : focusing on three years of teaching expository writing classes : 3년간의 설명하는 글쓰기 수업 및 평가를 중심으로 김은태, 정혜린 p. 5-38

디지털 글쓰기 과정 중 휴지와 수정의 역할 = Roles of pauses and revisions in digital writing processes : insights from Keystroke logging data : 키스트로크 로깅 자료를 중심으로 김혜연 p. 39-70

결과위주 교육관과 국어교육 돌아보기 = The results-oriented educational perspective : a re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송재익 p. 71-106

난독증 진단 요소 및 진단 과정 체계화 연구 = A study of dyslexia diagnostic elements and diagnostic process systematization 이병은, 최영환 p. 107-141

인터넷 독자의 인식적 처리에 관한 사례 기반 고찰 = A case-based study on epistemic processing of internet reader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wo university students' locating, evaluating, and synthesizing information : 두 대학생 독자의 정보 탐색, 평가, 종합 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이채윤, 조병영 p. 143-180

한국어 학습자의 자아개념과 쓰기 불안이 쓰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concept and writing anxiety on writing grade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 on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조정, 등우혜, 성야림, 권순희 p. 18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