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성공적인 호텔 개발과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입지 선정이며, 이는 자산 개발 및 운영자의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다. 우리나라 관광호텔은 공급을 쉽게 변경할 수 없는 반면, 수요는 다양한 변수로 인해 파악 및 예측이 어렵고, 항상 수급 불균형의 문제를 겪어왔다. 이에 이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8개의 원인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인구 및 경제 변수, 관광 시장 변수, 호텔 시장 변수로 분류했다. 이어,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fsQCA)을 통해 서울, 부산, 인천의 관광호텔의 숙박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들의 결합 조건을 파악하고 도시별로 비교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총 11개의 결합 조건(서울 4개, 부산 3개, 인천 4개)이 도출됐다. 서울의 경우, 모든 모델에서 공급 객실 수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서는 관광소비액과 공급 객실 수가 핵심 요소로 나타났으며, 인천에서는 관광소비액과 객실 평균판매요금이 핵심 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각 지역 관광호텔 시장의 핵심 입지 특수성을 도출하고, 호텔 자산을 신규 개발 및 공급하려는 참여자들에게 입지 선정 과정에서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관광객체 진정성 측정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scale for tourism object authenticity 김현정 p. 9-32

‘사회적 거리두기’ 사태에서 여가체험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leisure experience during social distancing 이보미 p. 33-54

레크리에이션 기회 분포(ROS) 유형에 따른 관광자원과 스트레스 관련 요인들과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related factors and tourism resources by ROS type : from the perspective of stress recovery theory an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 스트레스 감소이론과 주의회복이론 관점에서 장민희, 김남조 p. 55-77
fsQCA를 활용한 행정구역 특성에 따른 관광호텔 숙박 수요 결정 요인 = Determinants of tourist hotel accommodation demand considering administrative district characteristics : a focus on tourist hotels in Seoul, Busan, and Incheon : 서울, 부산, 인천의 관광호텔을 중심으로 민병은, 이현애, 정남호 p. 79-104

문화재 야행에서 야간 분위기가 마음챙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night atmosphere on mindfulness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regard to cultural heritage nights : based on S-O-R paradigm : S-O-R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민혜연, 이경은, 허진무 p. 105-124
호텔업의 전략유형에 따른 자본구조, 잉여현금흐름 및 경영성과 간의 잠재성장모형 연구 = Study on the latent growth model of capital structure, free cash flow,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hotel industry : the impact of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류팡팡, 곽초, 이자준, 설훈구 p. 125-150
관광형 MaaS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 충성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ourism-oriented MaaS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loyalty and continuance intention : focus on Gangneung Pass application : 강릉패스 앱을 대상으로 고다은, 정철, 박승화 p. 151-176
PERMA 모델에 근거한 여행자 웰빙 요인과 주관적 웰빙(SWB)의 영향관계 = Exploring traveler well-being factors based on the PERMA model and their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홍민정 p. 177-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