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유대인들의 삶의 지침으로 토라를 학습하기 위한 교육 방법인 하브루타를 기독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그리스도인들이 일상적인 삶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을 기독교 교육 적용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교육의 배경을 토라 해석의 지침과 가르치기 위한 지침, 토라교육의 방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하브루타 교육방법을 하브루타 교육의 개념, 하브루타 교육모형을 하브루타 교육 목적, 하브루타 교육의 내용, 하브루타의 교수-학습 과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유대인들의 하브루타 교육방법을 기독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교육방법을 독서와 암송을 통한 교육, 기독교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독교 교육을 위한 문제 중심 학습, 기독교 교육을 위한 토론 학습, 기독교 교육을 위한 창의성 개발을 교육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결론 및 제언: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을 기독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와 암송을 통한 교육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둘째, 기독교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셋째, 기독교 교육을 위한 문제 중심 학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기독교 교육을 위한 토론 학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기독교 교육을 위한 창의성 개발을 교육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본 공동체 상실과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ss of commun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its restoration as seen through 'I, Daniel Blake' 김정희, 황혜진 p. 57-76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Explor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이은철, 한정수 p. 301-318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경향 연구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Korean journal 이성아 p. 121-145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의 기독교 교육 적용 방안 = Application of Jewish Havruta methods to Christian education 옥장흠 p. 33-55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의 종단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physical activity, sleep quality,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임신일, 형희경 p. 319-338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 Christian educational suggestions for Christians living a consumer society 조미영 p. 147-167

문익환 통일의 집 사례를 통해 본 박물관 기반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 Exploring the direction of museum-bas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Moon Ik Hwan's House of Unification 오덕열 p. 219-242

한국 대중가요(K-Pop) 안에서의 ‘광야’(KWANGYA) 이미지 = The image of 'KWANGYA' in Korean pop music (K-pop) : a study of symbolic commonalities with Biblical wilderness theology : 성서적 광야신학과의 상징적 공통점 연구 안정도, 서재덕 p. 243-271

프로젝트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church education program utilizing project-based generative AI : focusing on youth retreats : 청소년 수련회를 중심으로 남선우 p. 97-120

대학생의 과제 수행에서 ChatGPT 활용 경험과 효과적인 학습 활동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using ChatGPT in college students’ assignment and effective learning activities 박은혜 p. 273-299

교회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radigm of teacher education in the church 박향숙 p. 77-96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 The tasks for Christian education as a posthuman practical theology 장신근 p. 7-31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design education of the campustown YouTube creator content produc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church 이정관, 김희경 p. 197-217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에게 나타난 은혜와 의지를 통해 본 기독교 성품교육 방향 = Direction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grace and will in Augustinus and Luther 김희영 p. 169-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