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문학은 지난 십여 년간 세계 무대에서 주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룩했다.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가 2016년 맨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는 등 여러 한국문학 번역 작품이 해외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거나 수상 후보작에 오른데 크게 힘입은 바이다. 오늘날에는 많은 한국문학 작가들, 특히 여성작가들의 작품이 해외에서 널리 읽히고 있다. 대표적 일례로, 조남주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에 돌풍을 일으키며 최근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한국문학 작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에 바야흐로 ‘K-문학’ 시대가 왔다며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 도약할 수 있게 새로운 장을 열 때가 됐다고 강조하는 이들도 있다. 그런데 이처럼 자축하는 사이 한국여성문학 작품의 초기 번역본들은 잊히고 말았다. 번역된 한국여성문학의 계보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발간한 프랑스어 정기간행물인 『르뷔 드 코레(Revue de Corée)』에 수록된 중ㆍ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 작품이 프랑스에 어떻게 소개되었나를 분석하였다. 1990년대 현지 출판사가 한국문학 번역 실천에 적극 나서기 전까지 『르뷔 드 코레』는 한국문학의 프랑스어 번역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29년에 걸쳐(1969∼1997년) 총 60편의 소설을 번역 게재하였다. 처음 6년 동안에는 여성작가의 소설은 전혀 싣지 않았다가, 1975년 ‘세계 여성의 해’를 기념한 특집호에서 여성작가의 소설 3편을 번역 게재하였다. 이것이 변곡점이 되었다. 『르뷔 드 코레』에 수록된 여성작가의 소설은 총 14편으로 남성작가 소설 총 46편과 대비되며, 전체 소설 중 23퍼센트를 차지한다. 이후, 그중 일부는 재수록 또는 재번역되었으나, 나머지는 잊혀 버렸다. 이처럼 ‘상실된’ 번역 작품들을 재발굴해서 소생시킬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행학(transitology)의 관점에서 본 그리스, 스페인, 한국의 민주주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democracy in Greece, Spain, and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itology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measures of transitional justice : 민주주의 공고화와 이행기 정의 실현의 상관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곽송연 p. 15-52

조지훈과 ‘한국적인 것' = Cho Jihoon and ‘Koreanity’ : the ambivalence of traditionalizing or inventing ‘nation’ : ‘민족(성)’의 전통화 또는 발명의 양가성 최현식 p. 53-87
박남수 시의 지리적 상상과 새의 디아스포라 =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and the diaspora of birds in Park Nam-soo’s poetry 이형권 p. 89-114
K-미학으로서의 ‘멋’과 그 의미 = ‘Style’ and its meaning as K-aesthetics : focusing on Jo Ji-hoon’s ‘study of style’ : 조지훈의 ‘멋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재복 p. 115-141
단군신화의 웅녀 서사를 통해 본 원시-고대 한국인의 인간관 = The primitive ancient Korean’s view of human beings through the Ungnyeo(熊女) narrative of the Dan-gun(檀君) myth focusing on the version of Samguk Yusa(三國遺事) : 『삼국유사』본을 중심으로 정소연 p. 143-166
김수영의 비인칭적 시적 주체와 참여시 = Kim Soo-young’s impersonal poetic subject and participatory poetry : ‘foe’, ‘death’, ‘other’, and two ‘poetry’s uselessness’ : ‘적’, ‘죽음’, ‘딴 사람’과 두 개의 ‘시 무용론’ 윤승리 p. 167-197

탈북 여성작가의 디아스포라 주체 다시 읽기 = Rethinking diaspora subjects in the narratives of North Korean refugees : on the representation of faces and the power of resilience : 얼굴의 재현과 회복력을 중심으로 정은귀 p. 199-228
요절과 영생의 서사 연구 = Narrative study of early death and eternal life 최성민 p. 229-256
한국여성문학의 프랑스어 번역 양상 = Korean Women’s literature in French translation : focusing on the short stories and novellas in Revue de Corée published b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르뷔 드 코레』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남윤지 p. 257-293

동아시아의 예술적 감성으로 바라본 말라르메의 부채 시 = Mallarme’s folding fan poetry illuminated by East Asian artistic sensibilities 도윤정 p. 29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