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1916년 1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매일신보』의 「송재만필(松齋漫筆)」란에 대략 8개월간 180회에 걸쳐 연재된 〈일사유사〉를 ‘편집’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일사’와 ‘유사’의 의미에 매개된 편집의 문화정치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 매개된 젠더적 비대칭성을 논증했다. 장지연은 〈일사유사〉의 연재를 통해 대안적 역사서술과 확장적 문학사 서술을 실천했으며, 대상자의 역사문화적 맥락성을 고려해 문헌 기록과 더불어 구술청취의 ‘전문(傳聞)’을 참조한 ‘수문수록(隨聞隨錄)’의 글쓰기를 수행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비가시화된 역사⋅문화⋅문학의 실재를 가시화하는 데 기여했다. 실제로 ‘일사’의 양식에는 전, (언)행록, 유사, 시화, 야담, 소설 등이 포괄되었고, 외사씨의 논평 란에서 대상 인물을 조선과 중국의 당대적이고 역사적 인물과 연결하는 계보화를 수행했다. 이와 같은 글쓰기의 전략은 신분, 지역성, 정치성 등의 사유로 배제되고 누락된 역사적 인물의 정체성과 삶, 역량을 가시화하는 역사문화적 ‘접지(earth grounding)’의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장지연은 비가시성의 전제로 알려진 ‘자발적 은거’로 명시된 경우조차, 사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역량을 발휘할 수 없었던 ‘비자발성’이 매개되었음을 강조했지만, 여성 일사에 대해서는 같은 시각을 보이지 않았다. 남성 일사에 대해서는 유교 이념을 ‘벗어난’ 행보에 주목해 당대의 인정구조에서 소외된 다양한 역량을 부각했지만, 여성 일사에 대해서는 여전히 가족 관계 역할에 한정하거나 유교의 덕목에 부합하는 역량과 생애에 주목하는 제한성을 보였다. 이 글에서는 이를 〈일사유사〉 편집에 일관적으로 투영된 ‘정치적 무의식’과 젠더 비대칭성으로 해석하고, 여성 일사를 가시화 하는 과정에서 역설적으로 여성의 삶 전체가 다시 비가시화되는 역설을 문화정치의 관점에서 해명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사/유사’ 편집의 정치성과 젠더 정치의 무/의식 = The politics of editing “Ilsa/Yusa” and the un/consciousness of gender politics : focusing on the serial “Ilsayusa” in Maeil Sinbo in 1916 : 1916년 『매일신보』 연재 <일사유사>를 중심으로 최기숙 p. 11-40

기지촌 여성의 자기서사와 반(反)역사 = Self-narratives and counter-history of women in U.S. camptown : centered on the oral life history of Choi Hyun-sook : 최현숙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장영은 p. 41-63

미군 ‘위안부’ 재현과 자기서사의 틈새 = Narrative disjunctions : examining the representation and self-narrative of U.S. military comfort women : 안일순의 『뺏벌』(1995)⋅김연자의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 분 전까지 악을 쓰다』(2005)를 중심으로 허윤 p. 65-96

고려 우왕 대의 군사화 = The militarization of Goryeo Dynasty in King Wu’s reign 정동훈 p. 99-133

조선후기 여성 주체 논의를 위한 시론 = Theory for discussion of female subje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concept, conditions, and examples of subjectivation : 주체화의 개념과 조건, 사족 여성의 실례를 중심으로 성민경 p. 135-175

19세기 중반 還穀의 감소와 充完 시도 = Reduction of Hwuan-Gok (還穀) and supplementation of losses in the mid-19th century 임성수 p. 177-211

원산항 객주상회소의 형성과 변화과정 =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 merchant association of Wonsan Port 조재곤 p. 213-245

메이데이(May Day)는 어떻게 근로자의 날이 되었나 = How May Day became ‘Employee Day’ : focusing on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memory around Labor Day : 노동기념일을 둘러싼 사회적 기억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박홍근 p. 247-277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 산출 및 지각 양상 =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word-initial stops by Goryeoin immigrant youths 장혜진 p. 279-304

통일시대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언어 문제 고찰 = Examining the language problem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era of unification 이주랑 p. 305-327

그림책의 개념적 논의를 통한 문학교육 도구성 고찰 = Examining the instrumentality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conceptual discussion of picture books : focusing on promoting thinking maturity and psychological comfort : 사고 성숙과 심리 위안 도모를 중심으로 정은아 p. 329-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