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정보처리 역량 함양 차원에서 ChatGPT와 같은 쌍방향 대화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55명의 사범대 수학교육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수업 설계 및 실연 과정에서 ChatGPT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그 경험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은 ChatGPT를 수업 자료나 온라인 수학도구 검색, 수학 개념 탐구 학습 활동 구성, 수학적 원리를 가르치는 방법과 같은 과정·기능 범주 정보 수집에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실생활 연관 활동 탐색과 같은 가치·이해 범주에 활용하였다. 그러나 지식·이해 범주에 해당되는 수학적 지식이나 문제해결 방법에 관해서는 앞의 두 범주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ChatGPT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수학교사들은 과정·기능 범주에 속한 교수-학습 설계 활동 구상을 ChatGPT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많고 그 정보를 비판적 평가와 재구성 없이 수업에 바로 적용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ChatGPT의 수학적 정보 정확성에 대한 신뢰 문제도 이 연구에서 제기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등수학 교과에서의 서술형 문항에 대한 분석적 점수화 채점방법의 이해 = The understanding of the analytic scoring method on the essay type item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황혜정 p. 355-374

의지력에 관한 암묵적 신념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mplicit beliefs of willpower on mathematics learning 허난 p. 375-389

수학 수업 계획을 위한 ChatGPT 활용 = Utilizing ChatGPT for mathematics lesson planning : an analysi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experiences : 예비수학교사들의 경험 분석 김영옥 p. 391-415

넓이와 부피 개념의 학습 경로에 대한 재고찰 = Revisiting learning trajectories for area and volume 박수민, 노지화 p. 417-433

수학에 기반한 인공지능 수업을 통한 중학생 인식변화 = The influence of a math-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오세민, 정다운, 한상곤, 김동화, 하정민 p. 435-450

파이썬(Python) 기반의 중학교 수학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Python for the convergence of coding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이혜연, 김보란 p. 451-473

ChatGPT를 활용한 <인공지능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AI Mathematics> using ChatGPT 김호석, 고호경 p. 475-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