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Random-oriented morphology in generative art = 생성예술에서의 랜덤 지향 형태론 : 랜덤으로 형성하고 구성한 가상조각 : virtual sculptures formed and composed using random factors Jin-Hee Kim p. 2343-2352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기반의 체험형 초등교육 앱 서비스 제안 = Proposal of experiential elementary education app service based on blended learning 이수아, 이동엽, 조윤주 p. 2353-2367
Analysing the metaverse in smart city management and promotional policies = 스마트시티의 메타버스 운영과 홍보 정책 분석 Yooncheong Cho p. 2369-2380
인스타그램의 각 콘텐츠 형식이 몰입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ow features on Instagram affect flow and satisfaction 정휘찬, 이승엽 p. 2381-2399
4-DOF 모션 플랫폼 기반 VR 지하공동구 체험 교육 플랫폼 = Underground utility tunnel experience training based on a 4-DOF motion platform in virtual reality 강남규, 서상우, 정우석, 이용태 p. 2401-2409
몰입형 VR 환경의 조도 및 색온도 수준에 따른 생리적 반응 연구 = Physiological responses to levels of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구나언, 박수진 p. 2411-2422
모바일 방치형 게임 장르 특성 연구 = Characterizing the genre of mobile idle games 안찬제 p. 2423-2432
ADDIE 학습모델을 활용한 가명 정보 처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성과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utcomes of an education program on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the ADDIE learning model 홍윤희 p. 2433-244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오윤정 p. 2441-2448
Z축 추가를 통해 공간기반 소통을 강화한 생성형 AI 기반 차세대 SNS 서비스 = Next-generation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generative AI that enhances spatial communication by adding a Z-axis 황재원, 김예림, 김건동 p. 2449-2461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상 데이터 시각화 = Visualizing real-time weather data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곽미영, 임수연 p. 2463-2470
양자 공격의 대응되는 격자 기반 사용자 인증 암호 프로토콜의 보안 취약점 분석 =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of corresponding lattice-based cryptography protocols for user authentication against quantum attacks 이정훈, 최윤성 p. 2471-2478
창의적 콘텐츠 생성에서 GPT-4의 성능 평가 = Performance evaluation of GPT-4 in creative content generation : a comparative study with human outputs : 인간 작성물과의 비교 연구 김성은, 김자경, 오동석 p. 2479-2490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예방행동의도와 위험지각, 심각성 인식이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on social bonding : mediating effect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 및 이용동기 매개효과 검증 이진혁, 박성복 p. 2491-2505
아이폰 앱 아이콘 인지의 연령별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age-related variations in recognition of iPhone app icons : iOS 17 icons : iOS17 앱 아이콘 중심으로 변하영, 정인아, 정유리, 최유미 p. 2507-2516
Effectiveness of ChatGPT in programming education for non-computer science majors = ChatGPT 활용이 비SW전공생 프로그래밍 학습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Kwangil Ko p. 2517-2524
기술철학적 관점을 반영한 생성적 인공지능 예술창작 사례 연구 = Generative AI art on the view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조영각, 김현주 p. 2525-2541
간호대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피내주사 콘텐츠 개발 및 효과 검증 = Development and effects of metaverse-based intradermal injection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안민권 p. 2543-2549
틱톡 유료 서비스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TikTok paid servic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 a survey focusing on the UTAUT2 model and creator attributes : UTAUT2 모델과 크리에이터 속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열, 남인용 p. 2551-2562
버추얼 인플루언서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감정 반응 연구 = Emotional response to virtual influencer content on YouTube 최믿음, 오윤경, 정해린, 정다희 p. 2563-2574
CiteSpace를 활용한 고령자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시각화 분석 연구 = Visualization analysis of elderly user experience design using CiteSpace 장호남, 김혜경 p. 2575-2585
AI 기반 가상 관광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UI/UX 연구 = UI/UX research using AI-based virtual tourism metaverse platform 안성준, 문석환, 김휴찬 p. 2587-2595
확장현실 환경에서 사실적인 아바타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컨트롤러와 팔꿈치 기반 조정 기법 = User's controller and elbow-based calibration technique for realistic avatar creation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이제민, 이기공, 김영우, 김영원 p. 2597-2605
확장현실에서의 저시력 사용자를 위한 Spread 인터랙션 기반 확대 디스플레이 = XR-based magnifying display for low vision users : spread interaction approach 이기공, 이제민, 김영우, 김영원 p. 2607-2616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주소 기반 데이터 분석과 제언 = Address-based data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utilizing open data 박하람, 김학래 p. 2617-2626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성장에 따른 국방 AI 의료분야 발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fense AI medical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digital healthcare market 임태환, 황규영, 김태곤, 한승철 p. 2627-2635
러시아 K-Drama 시청자들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지각된 현실성과 관여도가 한국인에 대한 낭만적 환상과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parasocial interaction, perceived reality, and involvement on Russian audiences' romantic fantasies about Koreans and their intention to visit Korea 아나스타시야 솔로구프, 손재영 p. 2637-2646
미술교육 디지털화(Digitalization)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digitalization in art education through digital-based creative learning experiences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창작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정이슬, 김은정 p. 2647-2656
게임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표현 연구 = Postcolonial representations in games : focused on the <Assassin's Creed> : <어쌔신 크리드> 중심으로 왕교천천, 이재준 p. 2657-2665
공간형 실감콘텐츠를 위한 공간과 상호작용 기반 비주얼 가이드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ce and interaction-based visual guide for spatial immersive content 최인영, 정희용, 조영준, 신춘성 p. 2667-2675
데이터 홈쇼핑과 TV홈쇼핑의 화면 구성 차이가 이용자의 사용성 평가와 시각적 주의,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ffects of screen composition in data versus. television home shopping on usability, visual attention, and advertisment effectiveness 이민희, 독몽기, 왕일범, 유경한 p. 2677-2687
VR 게임 이용 동향 및 지각된 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VR game usage trends and perceived satisfaction 나지영 p. 2689-2698
AI 이미지 생성 도구를 활용한 효율적인 디자인 방안 연구 = A study on efficient design methods using AI image generation tools : based on the idea generation method : 아이디어 발상법을 기반으로 박은영 p. 2699-2707
시맨틱 AI를 활용한 파일 검색 및 관리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제안 = Proposal for a business model of file search and management software using semantic AI : focusing on service design methodology :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안우석, 안혜진 p. 2709-2722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교과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 방안 연구 = Study on learning strategies using generative AI for teaching social studies in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강민수, 윤나영, 송가영, 전대일 p. 2723-2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