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제8조는 “대지 위에 구분소유권의 목적인 건물이 속하는 1동의 건물이 있을 때에는 그 대지의 공유자는 그 건물 사용에 필요한 범위의 대지에 대하여는 분할을 청구하지 못한다.”라고 정하여 집합건물의 대지에 관한 공유물분할청구를 원칙적으로 제한한다. 대지 공유자 중 1인이 집합건물의 대지에 대해 재판상 공유물분할청구를 하더라도 위 조문과 이에 관련된 대법원판결에 따라 그 청구는 대부분 기각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구분소유자가 아닌 대지 공유자가 공유물분할청구를 하는 경우 법원은 이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다. 집합건물 대지라는 공유물의 특성, 구분소유자의 대지에 대한 공동소유관계, 분리처분금지의 원칙의 측면에서 집합건물 대지에 대한 공유물분할 금지가 정당화되는데, 구분소유자가 아닌 대지 공유자에게는 이러한 정당화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그들과 나머지 구분소유자들의 관계는 민법상 공유관계에 해당하므로, 민법 제268조에 따른 분할의 자유가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구분소유자 아닌 대지 공유자가 출현하게 된 경위, 그들이 집합건물에 관한 법률관계에 미치는 문제점, 전유부분과 대지 지분을 일체화하려는 집합건물법 등 관계 법령의 내용을 고려할 때, 전면적 가격보상으로 구분소유자 아닌 대지 공유자를 축출하는 것이 정당화된다. 마지막으로, 집합건물의 대지에 집합건물이 아닌 일반건물을 보유하고 있는 대지 공유자의 공유물분할청구도 원칙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이 경우 분할방법은 협의의 현물분할 방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Article 8 of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states that “If a building to which an object of sectional ownership belongs exists on the site, co-owners of the site are prohibited from claiming the partition of the site to the extent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building.” In principle, a claim for division of the site of a condominium building is restricted. Most cases in which one of the co-owners of the land demands partition of the site of a condominium building have been dismiss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vision and the Korean Supreme Court’s ruling. However, if the co-owner making such a claim does not hold sectional ownership, the court will need to take a prospective approach to the claim. His or her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sectional owners is a common co-ownership relationship under the Korean Civil Code, and therefore the freedom of partition under Article 268 of the Korean Civil Code should be recognized. Furthermore, taking into account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y emerged, the problems that they cause to the legal relations concerning the condominium building, and the rules of the relevant regulations, it is justified to evict such owners who solely possess a share of the land. Additionally, the claim for partitioning of the land by the co-owner of the land who owns a non-sectional building on the land of the condominium building site should also be recognized. However, in such instance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partitioning in kin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당사자가 모두 도산한 경우의 법률관계 = Legal relationship between two bankrupt parties of executory contract 최준규 p. 3-38

도산절차에서 보증인의 상계권 행사 = Exercise of the guarantor’s right of set-off in insolvency proceedings 심활섭 p. 39-79

하이브리드 구조조정절차에서의 법원의 역할 = The role of the court in hybrid restructuring proceeding 김기홍 p. 81-126

국가불법 입증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소고 = A stud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tate illegality proofs 박범영 p. 129-157

변론능력에 관한 분석적 검토 = An analytical review of ability to plead : including the Supreme Court Order 2023Ma6934 Decided December 14, 2023 : 대법원 2023. 12. 14. 자 2023마6934 결정을 계기로 전병서 p. 159-196

구분소유자가 아닌 대지 공유자에 의한 집합건물 대지의 공유물분할 문제 = Issues arising from partition of a condominium building site by co-owners without sectional ownership : regarding Supreme Court Decision 2022Da271753, Delivered on September 14, 2023 : 대법원 2023. 9. 14. 선고 2022다271753 판결 정의진 p. 197-237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상 권리금 회수기회 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법적 성질 및 지체책임 = Legal nature and delay damages of the liability for obstruction of opportunity of collecting premium under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 focusing on Supreme Court Decision 2022Da260586 Decided February 2, 2023 : 대법원 2023. 2. 2. 선고 2022다260586 판결을 중심으로 이승엽 p. 239-281

대리모 계약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Some legal issues arising from surrogacy agreement : focusing on the surrogacy law in the U.K. and the U.S : 영국과 미국의 입법례를 중심으로 이소은 p. 283-326

의결권구속계약의 효력과 쟁송 방법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litigation methods of shareholders’ voting agreement 홍순건 p. 327-379

제사주재자의 결정 = The determination of the ancestral rite superintendent :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8Da248626 on May 11, 2023 : 대법원 2023. 5. 11. 선고 2018다248626 전원합의체 판결 윤진수 p. 381-422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의 기준시점 = The reference date for the division of property following divorce : taking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7Meu11856, 11863 Decided July 13, 2023 as Precedent :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17므11856, 11863 판결을 계기로 삼아 윤정운 p. 423-468

수사기관의 범행현장 등 촬영의 적법성 판단 기준 =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legality of video surveillance : subject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o8161 Decided April 27, 2023 : 대상판결: 대법원 2023. 4. 27. 선고 2018도8161 판결 김시원 p. 469-505

프랑스 형사상 디엔에이감식시료 채취 및 정보 보관에 대한 동의 = Consent of DNA detection sample collection and data storage in French criminal procedure 심승범 p. 507-536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 원칙의 적용 범위 재검토 = A study of the scope of the objective indivisibility principle of the criminal complaint :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Decision 2017No818, September 28, 2017 : 서울서부지방법원 2017. 9. 28. 선고 2017노818 판결 여한울 p. 537-580

폭행 자체가 강간·유사강간·강제추행이 되는 경우의 처벌 문제 = The punishment in cases where the violence itself constitutes rape, imitative rape, or indecent act 차윤제 p. 581-619

정당현수막 규제에 대한 공법적 평가 = A study on the legal evaluation about restriction of political banners :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right to enact ordinance : 지방자치단체 조례제정권의 한계를 중심으로 김경준 p. 621-666

배포권의 국제소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exhaustion of distribution right : focusing on Supreme Court Decision 2020Do17863 Decided December 7, 2023 : 대법원 2023. 12. 7. 선고 2020도17863 판결을 중심으로 정현순 p. 667-709

바람직한 노동재판청구권 실현의 모습 = The desirable way for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trial in labor cases : focusing on the discus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Labor Court : 노동법원 설립 논의를 중심으로 유동균 p. 71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