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2022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용시설과 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훈련/교육프로그램 경험 및 기관의 경력개발 지원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보상부적절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훈련/교육프로그램 경험이 조절효과(ß=.225, p<.05)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불안정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경력개발 지원이 조절 효과(ß=-.147, p<.05)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용시설 근무 사회복지사 대상 현장 적용이 필요한 훈련/교육프로그램 지원과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제도적 틀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제로웨이스트(Zero-Waste) 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환경 인식 변화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Photovoice study of changes in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zero-waste activities 임주원, 김서현 p. 5-41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훈련/교육프로그램 경험 및 기관의 경력개발 지원 조절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ining/education program experience and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in social workers :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using facility and residential facility : 이용시설과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비교 연구 김수경 p. 43-74

이주노동자의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housing poverty on depression among migrant workers with E-9 visas : 비전문취업(E-9)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신자현, 송아영 p. 75-99

사회복지조직 일생활균형제도의 도입과 이행,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impact of a work-life balance system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 using the example of two community social services centers : 사회복지관 2개소 사례를 중심으로 류주현, 김영아 p. 101-129

여성이주노동자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 = 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f female migrant workers : focus on predictive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 예측 요인 및 한국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임정수, 오은혜, 고범준 p. 131-166

과중채무를 경험한 청년의 심리사회적 안녕에 관한 질적 연구 = More than a problem of money : a qualitative study of consequences of overindebtedness among young adults 김연수, 박정민 p. 167-206

사회활동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대인신뢰의 매개효과 검증 = Research on the mediational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 multi-group analyses by age : 연령별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여 한진경, 한창근 p. 207-240

청소년의 외로움이 자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loneliness on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s :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smartphone usage time and anxiety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불안의 다중 매개효과 안미선, 박소연 p. 241-267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적 가치 지향성과 사회적·경제적 성과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i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networks :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매개효과 검증 Tran Tien Anh, 배정희 p. 269-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