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만족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분석을 통해 신임교원의 교수지원을 위한 강의개선 컨설팅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신임교원의 34개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856명을 대상으로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증 및 Welch's t 검정과 질적분석을 통해 이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임교원 수업 만족도에 있어서 ‘교수자의 열정’과 ‘학생질문/의견에 대한 관심과 대답’이 높은 평균을 보인 반면 ‘수업 난이도의 적절성’과 ‘수업진행 속도 및 과제부담의 적절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수업크기 및 수업형태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크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수업형태에 따라서는 강의식보다 토론식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집단(수업 만족도 상/하)에 따른 문항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11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난이도의 적절성’, ‘과제/시험 피드백의 유용성’과 ‘이러닝 매체 및 장비 활용’, ‘수업내용 요약/정리’가 상대적으로 큰 평균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질적분석 결과, 만족도가 높은 수업에서 상위 4개 항목에 대한 교수전략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임교원에 대한 교수지원 개선방향을 도출하여 강의개선 컨설팅 모형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양교육의 주제로서의 인공지능 인문학 =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s a subject within general education :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윤주한 p. 11-22

대학의 교양수학에서 인공지능과 수학 관련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urs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thematics in college general mathematics 최재길, 심상길 p. 23-33

ChatGPT 활용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역량 변화와 인식차이 연구 = Study on competency changes and perception dif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ChatGPT utilization experience 박은숙 p. 35-57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에서 챗GPT 답변의 활용 유형 및 양상 연구 = Types and patterns of utilizing ChatGPT responses in college student writing 이윤빈 p. 59-79

미국 고등직업교육기관의 교양교육 운영 및 질관리 사례 =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general education in career-technical education in the U.S : focused on the implications for university college of Korea : 전문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신동은 p. 83-99

일본 평생학습의 AI정보화 실현 가능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 An educational study on the realization of AI informatization in lifelong learning in Japan 오민석, 박주희 p. 101-112

인성교육과 행복교육 연구 = A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and happiness education 강미순 p. 113-129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니체의 교양교육론 탐색 = Exploring Nietzsche's idea on liberal education in Thus Spoke Zarathustra : 니체의 후기 교양교육론을 중심으로 김재춘 p. 131-145

<추리와 논증> 수업에 적용한 ‘그룹 활동’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효능감 =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efficacy of group activities applied to the <inference and argumentation> class 하영미 p. 147-162

디지털 복합양식 비디오 프로젝트를 활용한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 Digital multimodal video project in a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 : a case study 전은영 p. 163-177

Engaged Learning 수업 모델을 활용한 교양필수 교과목 연구 = A study of required liberal arts courses using the engaged learning classroom model : focusing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algorithms : 컴퓨팅적사고와 알고리즘 중심으로 노은희, 조문기 p. 179-198

교양 영어 수업에서 다양한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tech-enhanced general English courses 강현숙 p. 199-212

대면 교양 수업에서 온라인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실시간 활용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 A study of undergraduates' perceptions on the synchronous use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tools in a face-to-face classroom 조혜원 p. 213-226

유학생 필수 교양 교과목의 메타버스 아바타 커스터 마이징 활용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적용과 효과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tion and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utilizing metaverse avatar customization in essential liberal arts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 focusing on digital competence, creativity, and self-expression : 디지털 역량, 창의성, 자기표현력을 중심으로 김수연 p. 227-247

대학 글쓰기 교육 다원화의 문제와 대안 = The problem and alternatives of diversifying college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rhetorical writing and reading education : 수사적 쓰기·읽기 교육을 중심으로 김진희 p. 249-261

주제 중심 융합교양교육을 위한 큐레이션 기반 학습 모형 개발 = Developing a curation-based learning model for topic-centered convergence liberal arts education 허혜연, 한정규 p. 263-275

신임교원 교수지원을 위한 강의개선 컨설팅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 consulting model for teaching improvement to support new faculty members : focusing on learners' perceptions of class satisfaction : 수업만족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김주연, 임이랑 p. 277-297

교양교육으로서 ESG 콘텐츠 구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SG content as liberal arts education 이난 p. 299-310

글로컬 시민성 함양을 위한 주제 중심 교양교육 실천 = A case study on subject-based approaches for liberal arts cultivating glocal citizenship : focusing on the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regional research> : <지역리서치 기반 문화예술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정옥희 p. 31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