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안교육의 개념적 확장과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대안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검토한 후 돈 보스코 예방교육이 지닌 영성적 측면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예방교육 영성을 실천하고 있는 세 교육기관을 사례로써 소개하였다. 그리고 기존 대안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실천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대안교육을 기존 공교육의 문제를 분석하고 판단하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온전한 성장을 위한 교육의 본래성을 회복하려는 교육 실천이라고 정의하였으며, 대안교육이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를 인간중심, 공동체 중심, 작은 학교 중심, 삶 교육 중심, 생태 중심 등 다섯 가지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19세기 이탈리아의 가톨릭 사제이자 교육사상가인 돈 보스코(Don Bosco, 1815-1888)의 예방교육을 열악한 환경의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이상의 것, 즉 실제 삶과 연결된 교육 실천이란 점에서 하나의 ‘교육적 영성’으로 규정하면서 예방교육의 세 원리인 이성의 원리, 종교의 원리, 사랑의 원리를 활용하여 진정한 교육, 즉 교사와 학생이 따뜻하고 친근한 관계를 맺고 학생들의 인격과 존중하고 능력을 개발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대안교육과 예방교육은 청소년의 본성에 대한 깊은 신뢰와 공동체성 강조, 교육에서의 학생의 주체성과 삶의 연결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 두 교육사상은 교육자의 모범과 친절한 사랑과 믿음직한 동반을 전제한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예방교육과 대안교육은 시간과 지역과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호 협력하고 상호 보완함으로써을 통하여 기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더 온전한 교육을 실천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생주도성(student-agency)과 수업 = Student-agency and instruction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passive-agency based on Spinoza : Spinoza에 기초한 수동적 능동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윤경 p. 5-30

돈 보스코 예방교육 영성의 대안교육적 의의 = The significance of Don Bosco's preventive education spirituality for alternative education : application and practice : 적용과 실천 강경채, 최준규 p. 31-47

사회통합 정책 텍스트에 내재한 다문화 패러독스에 대한 비판적 담론 연구 = A critical discourse study of multicultural paradoxes embedded i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장은영 p. 49-75

청소년의 인권판단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human rights judgment 홍승표 p. 77-97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진로 연계 중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탐색 =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strategies to reinforce career development capacitie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교사, 학생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구교정, 김영권 p. 99-126

전북 탄소중립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Support plan to revitalize carbon neutral education in Jeonbuk 김태훈 p. 127-147

깊이있는 학습을 위한 필요조건으로서의 논술형 평가의 특징과 지원 방향에 관한 탐색 = Explo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supporting direction of essay-type assessments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in-depth learning 송슬기 p. 149-172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통합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 모델 개발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 competency model and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integrating humanoid robot into education 한형종 p. 173-201

전문직의 적응적 전문성 연구 동향 분석 = A research trends analysis on profession’s adaptive expertise 배을규, 이수영 p. 203-231

Z세대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 분류 및 예측 요인 탐색 = Latent profiles and its predictors of work value in generation Z university students 정은교 p. 233-260

대학생의 라이프로깅을 활용한 학습전략이 학습 스타일, 자기조절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using lifelogging on learning style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김동심, 류다현 p. 261-279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사회불안 관계에서 완벽주의 자기제시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양주원, 이경순 p. 281-302

무전공 입학 대학생들의 자율전공학부 대학생활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universit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entering a non-major department 권정현, 김해숙 p. 303-324

PBL(Problem-Based Learning)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위한 미래 워크숍의 적용 및 퍼실리테이션 방안 탐색 = Exploration of application and facilitation plan of future workshop for PBL (problem-based learning) teaching support program 이혜정, 이유진, 박영미, 양정아 p. 325-348

아트-스토리텔링 협동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혼합연구 = A mixed-methods research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art storytelling activities 곽민정, 함보연, 김영순 p. 349-370

특성화고등학생의 주양육자 공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mpathy with primary caregivers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elf-efficacy and ego resilience :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 매개효과 중심으로 정문숙, 조규판 p. 371-392

사회과 뉴스 프레이밍 분석 수업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ews framing analysis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on elementary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focusing on “threat” and “anti-threat” framing : ‘위협’ 프레이밍과 ‘도움’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김지원, 은지용 p. 393-428

초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유튜브 과의존 및 학습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media literacy, YouTube overdependence, and learning engagement 도지민, 최진영 p. 429-453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Factors influencing the listening ability of Korean students in China : focusing on listening strategies, listening anxiety, and learning environment : 듣기 전략, 듣기 불안,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趙晨薇, 이수영 p. 455-477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wards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as liberal arts courses = 중국 대학생의 교양과목으로서의 인공지능 (AI)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Li, Yue, Lee, Yong-Jik p. 479-497

동네배움터 활동가의 학습경험 의미 고찰 = Examining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s of neighborhood learning center activists 백정숙, 이희수 p. 499-520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labor experiences of non-regular school workers : the story of seven workers at a vocational high school : 한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일하는 일곱 명의 노동자 이야기 견명인, 이현주, 홍은영 p. 52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