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라 예습을 제공해주었을 때 어떤 예습 제공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의 네 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수업 참여도, 학습 동기,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네 개의 그룹은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라 나뉘며 예습과제를 제공하지 않은 집단, 교사의 설명과 소통이 없는 학습지 예습 제공 집단, 교사의 설명은 있고 소통은 없는 녹화 동영상 예습을 제공한 집단, 교사의 설명과 소통이 모두 있는 대면 지도 예습을 제공한 집단으로 나뉜다.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추후 검사를 진행하여 세 번의 시점별 시간 흐름에 따른 학습 효과의 변화를 보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업 참여도와 학습 동기에서는 시간 흐름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습지로 예습을 제공한 집단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교사의 설명과 소통이 없는 학습지 예습 제공이 자기주도적으로 예습을 진행하게 하여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쳤고 수업 참여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시험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변수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학습지 형태의 예습 제공이 학습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effectiveness according to type of preview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홍주현, 박인우 p. 171-200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잠재 유형의 잠재전이분석 =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adolescent self determination academic motivation latent profile 김하예슬 p. 201-230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tinued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 = 한국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TAM 및 ECM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AM and ECM Hanho Jeong p. 231-249

디지털 심화 시대를 위한 ASSURE 모형 개선 연구 = Research on improving the ASSURE model for the age of digital sophistication 임지영, 한승연 p. 251-276

사범대학 다문화교육 강좌의 교육과정과 수업 개발을 위한 질적 다중사례 연구 = A qualitative multiple-case study on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이정민 p. 277-307

Optimiz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motivation-adapted individualized teachable agents = 동기 맞춤형 개별화 교수 에이전트를 통한 학습 성과 최적화 Sung-il Kim, Yoonkyung Chung, Sun-Young Lee, Yeon-kyoung Woo, Soonkoo Kwon, Eunsoo Cho, Cheon-woo Han, Karam Lim, Myung-Jin Lee, Su-Young Hwang, Woogul Lee, Wonsik Kim, Yeonhee So, Mi-Sun Yoon p. 309-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