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지방교육행정기관의 팀 단위 조직부서 규모결정 고려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행정 학계 전문가와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의 조직·정원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AHP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 결과, 조직적 관점, 법적 관점, 경제적 관점, 문화적 관점 순으로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적 관점의 경우 업무의 양, 업무의 질, 인력 구성, 업무의 내용 순으로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다시 업무의 양은 업무량, 지방교육행정수요 확대, 민원 업무 및 조직 내·외부 협력 업무, 업무 추진시기 및 처리시간, 공통업무 및 분장 외 업무 순으로, 업무의 질은 업무 중요도, 업무 난이도, 업무 비중 순으로, 인력 구성은 경력 및 직급, 직종 구성, 조직부서(팀)장 통솔범위, 결원 및 결원 대체 인력 순으로, 업무의 내용은 업무분장, 중복(동일)업무 순으로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법적 관점의 경우 조직부서 규모 설치기준, 조직부서 개폐 관련 규정 순으로, 경제적 관점의 경우 업무 효율성, 예산 규모 순으로, 문화적 관점의 경우 일하는 방식, 갈등관리 순으로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종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결과, 조직부서 규모 설치기준, 업무 효율성, 조직부서 개폐 관련 규정, 예산규모, 일하는 방식, 업무분장, 업무 중요도, 갈등관리, 경력 및 직급·직종 구성, 업무 난이도, 조직부서(팀)장 통솔범위, 업무량, 중복(동일)업무, 지방교육행정수요 확대, 업무 비중, 민원 업무 및 조직 내·외부 협력 업무, 결원 및 결원 대체 인력, 업무 추진시기 및 처리시간, 공통업무 및 분장 외 업무 순으로 종합 중요도 및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지방교육행정기관에 첫째, 조직적 관점에서 공식적 고려요인을 1차적으로 고려하되, 업무의 질, 인력 구성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팀 단위 조직부서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째, 법적 관점에서 팀 단위 조직부서 규모 설치기준을 「지방교육행정기관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명시하거나, 시·도교육청별 조례 혹은 규칙을 통해 팀 단위 조직부서 규모의 최소 설치기준을 설정하고, 셋째, 문화적 관점에서 지방교육행정기관 전반에 걸친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고 넷째, 경제적 관점에서 팀별로 운용하는 예산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감안, 업무와 예산의 긴밀한 연계, 팀 단위 조직부서 규모의 적정화를 통해 업무추진의 효율성 제고, 나아가 민간위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예비 국어 교사의 고전시가에 대한 교육적 가치화 양상 연구 =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valuing of classical poetry 고영화 p. 157-184

지방교육행정기관의 팀 단위 조직부서 규모결정 고려요인 우선순위 분석 = A priority analysis of team size determinants 오혜근, 나민주 p. 213-236

대학원생의 학업 경험과 연구 성과 간의 관계 분석 =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duate school experiences and research outcomes of graduate students 유진설, 박수정 p. 75-101

중학교 자유학기제 분산 운영에 대한 G지역 교원의 경험 분석 =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free semester distribution system in G province 유하라, 김우영, 임광국 p. 185-211

교사 집필자의 일본어Ⅰ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분석 = An analysis of teacher-authors' experience in developing JapaneseⅠ textbooks 이정연, 권성연 p. 265-290

대학생의 진로자기이해, 진로자기효능감, 진로낙관성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별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Examining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behaviors based on career self-understanding, self-efficacy, and optimism : a latent profile analysis 김동일, 박인후, 정건 p. 291-315

능력주의의 그림자로서의 노력 불평등 = Inequality in effort as a shadow of meritocracy : study time gaps by family background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 가정배경에 따른 공부시간 격차 및 공부시간-학업성취 관계 조절 전하람 p. 5-35

지역 중심의 대학-기업 간 협력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한 산학의 인식 = Roles of local government in regional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 exploring perspectives from regional universities and industries 민숙원, 박형준 p. 237-263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전환 탐색 = Exploring the transition to 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 a case study of a lifelong education college at A university : A대학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수진, 이은정 p. 103-131

교사의 이러닝 준비도가 디지털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chers’ e-learning readiness on digital innovative teaching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 교사 몰입의 매개효과와 러닝 커뮤니티의 조절효과 이서영, 송해덕, 신선애 p. 37-74

어린이집의 교육활동 지원 환경은 보육교사의 교직수행 어려움을 경감하는가 = Does the educational activity support environment in daycare centers alleviate teachers’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 an analysis of the 2018 National Childcare Survey :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분석 송효준, 김지은 p. 133-155

인성교육의 효과성 진단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for Diagnosing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communal character : 공동체적 인성을 중심으로 손경원, 정창우, 길혜지, 이인태, 김윤경, 이설아 p. 251-292
국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학교급별 건축프로그램 및 계획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Architectural Programming and Planning Elements of Green Smart Schools in Korea 원호성 p. 473-504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적 모순과 실천적 한계 = Conceptual Contradictions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한광택, 김설 p. 505-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