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데이터의 재현과 습관적 읽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 ‘만남’에 대한 고찰과 함께 질적연구의 대안 담론인 ‘후기질적탐구’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연구의 데이터 분석을 재현에서 출발하고 다시 재현에 고정시키는 것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 데이터 읽기와 다른 충만하게 데이터 만나기라는 개념과 윤리-존재-인식론의 관점에서 함께 연대하고 공존하며 차이생성을 지속해갈 수 있는 연구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만남으로부터 연구를 열어가며 이후 Deleuze, Barad,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과 더불어 사유하며 연구의 질문을 탐구하였다. 먼저, 만남은 무엇이며, 무엇이 만남을 놓치게 하는가에 대한 사건의 개념에 새롭게 접근하고, 신물질론과 수행성을 중심으로 연구의 새로운 시도를 탐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얽히는 물질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 따르는 경청과 존중을 제안한다. 또한 데이터와 연구의 수행성에 대해 논의하며 다르게 읽기와 다르게 쓰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가 마주한 연구자~연구참여자~물질의 사건을 따라가며 충만한 만남과 후기질적탐구의 고찰을 통해 재현의 방식을 넘어서는 만남과 윤리적 수행성의 가능성을 열어가는 실험의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 밖 청소년의 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취약성과 학교 중단 의미 변화에 대한 종단적 탐색 = The longitudinal exploration of vulnerabilities experienced by out-of-school youth and the changing meanings of school dropout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focusing on young adults in their mid-to-late twenties : 20대 중후반 청년들을 중심으로 조혜영, 김희진 p. 1-36

현화와 은희가 바꾼 나 = Hyunhwa and Eunhee have changed me : reflective writing of a qualitative researcher on the change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er : 연구참여자와 연구자의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자의 성찰일지 문경숙 p. 37-58
LGBTQIA+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LGBTQIA+ Korean learners 김유리 p. 59-99

만남을 통한 유아교육연구의 전환 =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through encounter : encountering children-materials through post-qualitative inquiry : 후기질적탐구로 어린이~물질 충만하게 만나기 강승지, 이연선 p. 101-128

놀이지도 교과목 운영 사례 이야기 = Story of a play map curriculum operation case study : finding meaning in playing : 놀이하기 경험의 의미를 찾아서 김윤미 p. 129-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