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데이터의 재현과 습관적 읽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 ‘만남’에 대한 고찰과 함께 질적연구의 대안 담론인 ‘후기질적탐구’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연구의 데이터 분석을 재현에서 출발하고 다시 재현에 고정시키는 것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 데이터 읽기와 다른 충만하게 데이터 만나기라는 개념과 윤리-존재-인식론의 관점에서 함께 연대하고 공존하며 차이생성을 지속해갈 수 있는 연구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만남으로부터 연구를 열어가며 이후 Deleuze, Barad,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과 더불어 사유하며 연구의 질문을 탐구하였다. 먼저, 만남은 무엇이며, 무엇이 만남을 놓치게 하는가에 대한 사건의 개념에 새롭게 접근하고, 신물질론과 수행성을 중심으로 연구의 새로운 시도를 탐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얽히는 물질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 따르는 경청과 존중을 제안한다. 또한 데이터와 연구의 수행성에 대해 논의하며 다르게 읽기와 다르게 쓰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가 마주한 연구자~연구참여자~물질의 사건을 따라가며 충만한 만남과 후기질적탐구의 고찰을 통해 재현의 방식을 넘어서는 만남과 윤리적 수행성의 가능성을 열어가는 실험의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