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교사교육의 여러 접근들 중 ‘교사-정체성’ 담론이 오늘날 한국의 교육 현실에 요청되는 이유를 교사들의 교직 효능감 및 자존감 저하에서 찾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시도로서 교사-정체성 담론에 기반한 교사교육 접근의 개념적, 이론적 기초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정체성’의 개념을 교사교육의 또 다른 접근들의 핵심 개념인 ‘교사-전문성’ 및 ‘교사-행위자성’ 개념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교사-정체성 형성 및 변형’이 교사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보다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둘째, 이러한 통합적 시각 하에서 우리나라 맥락에 적용될 수 있는 교사-정체성 형성 및 변형을 위한 구체적인 이론적 모델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 교육철학자 도리스 산토로(Doris Santoro)의 이론적 모델을 소개하고 검토한다. 첫 번째 작업을 통해서는, 교사-정체성이 교사-전문성과 어떻게 구조적으로 긴장 관계 속에서 있으면서 동시에 공존할 수밖에 없는지 보이고, 교사-행위자성은 어떻게 교사-정체성의 형성과 변형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자 단계인지를 보인다. 두 번째 작업을 통해서는, 각론으로 들어가 교사-정체성을 구성하는 세 가지 차원으로서 ‘개인적 삶에의 충실성’, ‘전문적 직업에의 충실성’, 그리고 ‘가르침에의 충실성’을 살핀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충실성 간의 긴장 관계를 살아내야 하는 교사들에게, 교육활동에 고유한 논리와 가치에 의해 안내되는 ‘가르침에의 충실성’이야 말로 교사 ‘개인의 삶에의 충실성’과 의미 있게 만날 때, 교사교육에서 교사-정체성 담론이 지니는 교육학적 의미와 가치를 드러낼 수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teacher-identity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which can recover Korean teachers’ moral sense of teacher identity, severely wounded by many unprecedented challenges from the recent school reform movement in the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o accomplish this goal, the paper first attempts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ncept of teacher identity and those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agency, respectively. It reveals the supporting or oppos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concepts, enabling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teacher identity discourse in teacher education. The paper then introduces the exemplary theory of teacher identity proposed by Santoro, an American philosopher of education, to investigate if it can be applied well to the Korean context. For our purpose, her model is worth paying attention because its underlying concern is to construct a theory of teacher identity based on an empirical inquiry into what causes morally motivated teachers to decide to leave teaching as a profession. This means her model of teacher identity is designed to capture and cultivate the moral aspiration of those who seek teaching as a profession. The model suggests three dimensions of teacher identity: personal integrity, professional integrity, and integrity of teaching. The discussion of the three dimensions of teacher identity leads us into to conclude that the dimension of integrity of teaching is should be studied and cultivated more in the discourse on teacher education discourse to ensure the (trans)formation of teacher identity is sustainable and educationally relevant for teachers toda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