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농산어촌 지역 노인들이 경험한 미술교육의 의미를 중점으로 미술교육 방향성을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해남군 화원면 미술관에서 15주 동안 진행된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미술수업의 형식학습을 통해 배움의 즐거움, 전문적인 학습, 그리고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수업의 무형식학습을 통해 참여자들은 정서적 만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농산어촌 문화예술 수업이 고령자들에게 보다 깊이 있는 관계형성 및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하였음을 보여준다. 셋째, 노인들의 미술수업 의미를 파악한 결과, 자존감 향상, 자아실현, 고립감 극복 등 삶의 질 고양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산어촌 노인들에게 미술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넘어 지역 공동체의 유대감과 소속감을 공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삶에 긍정적 변화를 통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농산어촌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 및 정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농산어촌 지역 노인들의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미술교육 기회들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the elderly in rural area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15-week art education program. Results showed that formal learning brought pleasu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teraction, while informal learning fostered emotional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Furthermore, art classes enhanced self-esteem, self-realiz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art educa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fostering community bond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indicates that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solving issues faced by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us, it is vital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se regions and ensure systematic and continuous government support. Offering diverse art education opportunities is also essential for maintaining social networks among the elder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박물관에서 ‘지역’ = What should ‘local’ be in regional museums? : a study on edu-curating the region with the concept of locality : 관행적 시각의 전환 필요성과 가능성으로서의 ‘로컬리티’ 조혜진 p. 1-27

국립박물관 자율관람 활동지의 발문 유형과 응답 형태 및 내용 연구 : 공예 분야 활동지를 중심으로 김현아 p. 29-46

라키비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 에듀케이터의 아카이브 활용 역량 강화 교육 연구 = A study of museum educators' archival training to improve their expertise in larchiveum 오효빈, 김효정 p. 47-66

가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미술 인지 및 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virtual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on art cognition and activity skills : focusing on Chinese landscape paintings : 중국 산수화 작품을 중심으로 이영자 p. 67-93

시를 활용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arts integration program using poetry : for focusing on the ASSURE model and TAT Lab’s evaluation method : ASSURE 모형과 TAT Lab의 평가 방식을 중심으로 박나래 p. 95-126

<1+3 예술통합교육> 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curriculum based on the <1+3 arts integration education> model : a case study of the ‘perception and arts integration’ course : ‘지각과 예술통합' 강좌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황은지 p. 127-148

농산어촌 노인미술수업을 통한 학습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elderly art classes in rural areas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미술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도현진, 김선영 p. 149-172

동아시아문화연구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탐색 = A new exploration of East Asian culture research methodology 박세연, 이병준 p. 209-239

평생교육사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nning competency scale for lifelong educators 고유선, 박진영 p. 173-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