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오늘날 시대는 라곰(Lagom), 오캄(Au Calme), 휘게(Hygge) 등으로도 불리는 소확행(小確幸)에서부터 기술과 약물 등을 통한 쾌락에 이르기까지 행복을 욕망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행복하기를 꿈꾸지만, 누구나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오늘날에는 쾌락이나 행복에 이르는 길도 매우 다양하다. 종교교육학자인 안톤 부허(Anton Bucher)는 근대에 들어서면서 행복과 운명의 여신들은 과거의 지위를 잃어버렸고, 그로 인해 행복과 행복에 대한 책임은 우리 “인간 자신의 손에 놓이게 되었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오늘날 행복은 직접적으로 느끼고, 오로지 개인의 판단 속에서만 가능한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이 되었다. 또한 기술시대를 사는 많은 이들이 모든 문제, 사회적인 문제들뿐 아니라, 심지어 행복과 같은 감정적이고 개인적인 문제까지도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솔루셔니즘(solutionism)’이라 부르는데, 솔루셔니즘은 인간 심리에 대한 조금의 인식이 없어도 컴퓨터 조작과 같은 기술적 작업을 통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개인의 문제는 말할 것도 없고, 사회적 문제 역시 기술적 수단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실제로는 더 많다. 또한 근시안적 혹은 일시적 해결에 매몰될 때 기술을 통한 해결은 전혀 예기치 못한 결과들을 낳기도 한다. 기술을 통해 어떠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그것이 지닌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것이라기보다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이나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거나 여러 상황과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때는 기술만으로 그 원인을 해결하거나 제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할 때뿐만이 아니라, 만족감, 충만함, 행복감과 같은 감정이나 정서를 북돋으려 할 때도 마찬가지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먼저 기술 시대 행복의 기준과 조건으로 제시되고 있는 ‘즉시성과 감각 증강,’ ‘효율성과 최적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개인윤리, 직업윤리, 그리고 사회윤리와 정치윤리의 측면에서 오늘날의 기술에 대한 윤리적 우려 세 가지와 기술과 행복의 관계를 톺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행복의 반대라 일컬어지는 ‘슬픔’과 같은 부정적 느낌이 기술 시대에 필요한 이유와 신앙인으로 우리가 가져야 할 ‘영적 경험으로서의 행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신앙인으로서 우리가 기술 시대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는 것이 필요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Today’s era can be characterized as the age of the desire for happiness, from the small things, also known as Lagom, Au Calme, and Hygge, to the pleasure of technology and drugs. Everyone wants to be happy, but not everyone can achieve it, and today there are many different paths to pleasure or happiness.

Anton Bucher, a scholar of religious education, says that in modern times, the goddesses of happiness and fate have lost their status, and the responsibility for happiness and well-being has been placed in our “own hands”. Happiness has become an intensely personal and subjective thing that can only be directly felt and judged by the individual. In addition, many people in the technological age are convinced that technology can solve all problems, including social problems, and even emotional and personal problems like happiness. This tendency is called “solutionism,” which is the belief that all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technical operations, such as computer manipulation, without the slightest awareness of human psycholog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any social problems, not to mention individual problems, cannot be solved by technical means alone. In addition, technology can have unforeseen consequences if it is used for short-sighted or temporary solutions.

Solving a problem with technology is an attempt to solve it by focusing on the surface phenomena or problem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in which it exists. Therefore, if the causes of a problem are not obvious or are a combination of different situations and contexts, it is unlikely that technology alone can solve or eliminate them. This is true not only when trying to solve a problem, but also when trying to promote feelings or emotions such as contentment, fulfillment, or happiness.

In keeping with this critical stance toward technology, this paper will first examine the “immediacy,” “sensory augmentation,” and “efficiency and optimization” that have been proposed as criteria and conditions for happiness in the technological age, and then raise three ethical concerns about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happiness in terms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social and political ethics. Finally, we will examine why sadness, the opposite of happiness, is necessary in the age of technology, and the role of happiness as a spiritual experience for people of faith, demonstrating the need for us as people of faith to take a clear stand on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technolog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통과 보편 사이에서 = Between orthodoxy and universality : a study of the tradition and liturgy of the Eastern Catholic Church : 동방 가톨릭교회 전통과 예전에 관한 연구 김형락 p. 7-32

예배와 문화의 관계모델 분석 = Analysis of relationship model between worship and culture : Robert Weber's blended worship in the light of the Nairobi Declaration : 나이로비 선언문에 비춰본 로버트 웨버의 블랜디드 예배 김승호 p. 33-60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 연구 = A study on pentecostal worship in the Azusa Street Revival Movement : focusing on worship leadership : 예배인도를 중심으로 김영화 p. 61-86

한국교회 설교학의 개척자 청해(靑海) 정장복의 설교론과 그 자취 = Homiletic theory and traces of Dr. Chang-Bok Chung as a pioneer of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 이현웅 p. 87-114

비언어적 요소가 설교 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non-verbal elements on sermon delivery 박문석 p. 115-139

여성의 영적 성숙을 위한 침묵 수행 = The practice of silence for women’s spiritual growth 백은미 p. 141-166

토마스 머튼의 관상적 삶의 태도와 윌프레드 비온의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omas Merton's contemplative attitude and Wilfred Bion's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김남훈 p. 167-190

일치를 향한 여정 = The journey towards union with God : the mysticism and spirituality of Evelyn Underhill : 이블린 언더힐의 신비주의 사상과 영성 김태훈 p. 191-215

기독교교정상담 수립 가능성과 그 방향 = Possibility of establishing Christian correctional counseling and its direction 전요섭 p. 217-244

정신역동 관점에서 본 ‘돌봄 구조 속 주체의 자기애 욕구 충족 심리’ 연구 = A study on ‘the psychology of satisfying the subject’s need for narcissism within the care structure’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고유식 p. 245-271

ChatGPT의 할루시네이션 문제와 고기능 자폐환자의 현실 인식 어려움에 관한 기독교적 비평 = ChatGPT's hallucination problem and the reality perception difficulties of individual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 a Christian critique 윤이상 p. 273-294

집단상담 리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group counseling leaders : focusing on Tae Ki Chung’s spiritual healing group : 정태기의 영성치유집단을 중심으로 백정미 p. 295-323

성인의 성형중독에서 열등감의 개선을 통한 치료 = Treatment through improvement of inferiority in plastic addiction in adults : based on Adler's theory of inferiority : 아들러의 열등감이론을 중심으로 곽수연 p. 325-343

꿈의 해석을 통한 현대 기독교인의 치유 = Healing modern Christians through dream interpretation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Carl G. Jung's dream analysis theory : 칼 융(Carl G. Jung)의 꿈 분석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임현우 p. 345-374

중년 기독교인의 부부갈등 회복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process of marital conflict recovery among middle-aged Christians : focusing on spiritual well-being : 영적 안녕감 중심으로 서경애 p. 375-400

기술 시대 행복에 관한 윤리적 논의와 영적 행복 = Ethical discussions of happiness in the age of technology and spiritual well-being 이은경 p. 401-424

생성형 AI 시대의 학생주도적 활동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student-led activity classe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유선희 p. 425-447

한국교회 청년부 신앙을 위한 기독교 교육적인 모색 = A Christian educational exploration for the faith of the youth ministry in the Korean church 강문규 p. 449-481

예비 종교 교사 대학생의 정체성 탐색 = Exploring the identities of prospective religion teacher college students : applying the photovoice method : 포토보이스 방법을 적용하여 최지원 p. 483-515

교회에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 Exploring ways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in the church 윤옥한 p. 517-537

한국의 미(美)의 정신문화적 배경과 한류의 방향 = The spiritual-cultural foundation of Korean beauty and the direction of Hallyu 최성훈 p. 539-562

다문화사회 선교를 위한 선교적 교회론의 함의 = Implications of missional church for multicultural society missions : focusing 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중심으로 단안드레 p. 563-591

초연결사회, 제 3의 장소로서의 교회 공간 형성 방안 고찰 = A study on forming church spaces as third places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양현준 p. 593-619

트라우마의 신체 경험 치유의 목회적 의미와 프락시스 = Pastoral meaning and praxis of the somatic experiencing of trauma 최창국 p. 621-644

로버트 M. 제라시 교수의 사상 = The thought of Prof. Robert M. Geraci 송용섭 p. 645-669

「한국여성신학」지를 통해 본 기독 여성 주체의 탄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rth of Christian women subjects seeing through Journal of Korean Feminist Theology 이난희 p. 671-702

이스라엘의 정신 "후츠파"가 실천신학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the Israeli spirit of "chutzpah" on practical theology 김태승, 하충엽 p. 703-727

생명복제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The status and prospects of cloning : a Christian ethical reflection 김은호 p. 729-753

「靑年」(1921-1940)에 나타난 성경적 평화담론과 기독교윤리적 함의 = Discourses of biblical peace in YMCA’s journal “The Young Man”(1921-1940) and Christian ethical implications 이장형, 안수강 p. 755-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