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사고와 표현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양교육의 본질로서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사고와 표현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교양교육의 중요 목표인 민주적 시민성 함양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인간 존중과 공적인 문제에 대한 판단 및 시민적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성 함양 교육의 연원을 수사학적 전통과 교양 교육 담론에서 고찰하였다.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구성 요소로서 ‘비판적 사고’와 ‘타자에 대한 배려와 공감’, ‘상호 협력과 호혜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고 시민성 함양을 위해 학생들이 기계의 한계를 파악하고, 의존하지 않도록 과정 중심 교육, 현장성 교육, 상호 토론, PBL, 메타인지적 일지 작성 등의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향후 사고와 표현 교육의 방향에 부합하는 교육과정과 교육 방안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어전(御前)이라는 공간과 상소의 수사학 = The space of 'the royal presence(御前)' and the rhetoric of expostulation : in case of <Ganchukgaegseo(諫逐客書)> by Lee Sa(李斯) and <Chulsapyo(出師表)> by Je Gallyang(諸葛亮) : 「간축객서(諫逐客書)」와 「출사표(出師表)」를 중심으로 김월회 p. 35-79

Pathos for gatekeeping and moderating in newspaper discourse : a corpus-based comparative analysis on China's human rights issues during the pandemic Chen Yue p. 167-196

为例"> 跨文化传播视角下西方电影中的隐喻解读 = Interpretation of metaphors in Western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 taking the movie "Green Book" as an example : 以电影<绿皮书>为例 郭祎, 罗敏球 p. 7-34

『莊子』 寓言 發微 = A discussion on Chuang-tzu's Yuyan 이두은 p. 109-137

인공지능 시대 사고와 표현 교육의 방향 = The direction of thinking and expression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a study on rhetorical and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stering citizenship : 시민성 함양을 위한 수사학적, 교양 교육적 고찰 박현희 p. 81-108

송양공에 대한 『동주열국지』의 재해석 = The reinterpretation of Song Xiangong in The Chronicles of the Eastern Zhou Kingdoms (Dongzhou Lieguo Zhi) : focusing on the evaluation and rhetorical techniques regarding Song Xiangong : 송양공에 대한 평가와 수사 기법을 중심으로 이현서 p. 139-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