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수학 교사가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위해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와 같은 어려움은 학교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수업이 잘 실행되지 않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사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이 수학 교과서 실세계 맥락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고, 변형된 과제를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과제 변형과 수업 실행 과정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각 단계 및 과제의 개방성과 현실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등 예비교사 의한 변형 전후 과제, 변형 전 과제 분석 결과 보고서, 과제 변형 보고서, 수업 실행 장면을 녹화, 녹음 및 전사한 자료, 수업 실행에 대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수집하였으며, 사례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과제 변형 시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단계 및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변형된 과제에서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에 대한 학습 기회가 증진되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변형된 과제의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가 다시 제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위에서 언급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단계들 외에 나머지 단계에 대하여 과제 변형과 수업 실행 과정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변형과 수업 실행 시 갖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향후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예비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t is difficult for mathematics teachers to develop mathematical modeling tasks and implement mathematical modeling lessons for their students. These difficulties serve as a reason why mathematical modeling lessons are not implemented well in school mathematic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how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MTs) modify mathematical modeling tasks in mathematics textbooks as a way to develop mathematical modeling tasks and how they implement the mathematical modeling lesson. In particular, we focused on how the openness and reality reflected in the task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change as PMTs modify the tasks. We collected data through PMTs’ evaluation reports on analyzing textbook tasks, task modification, lesson plans and implementations,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Then, we analyzed these data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process. The findings revealed that when PMTs modified the textbook task, they focused on and improved the openness and the defining variables and the model stages of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However, when PMTs implemented lesson, the openness and the defining variables and the model stages of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were restricted again. PMTs did not focus on other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as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교 6학년의 분수와 소수의 크기에 대한 수직선 표상의 정확성 및 사용 전략 분석 = Analyses of the precision and strategies for representing the magnitude of fractions and decimals on the number line among 6th graders 허진영, 임수현 p. 393-409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learning situations = 수학 학습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Somin Kim, Boeuk Suh, Ho Kyoung Ko, Nan Huh p. 411-436

수학 교과에서 교사특성이 수업태도와 수업만족도를 매개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teacher characteristics on self-directed learning mediated by students’ class attitude and class satisfaction in mathematics 박혜성, 김성연 p. 437-450

모선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지도 방안 탐색 =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a generating line and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s 황지남 p. 451-466

GPTs 기반 예비 교사 교육 맞춤형 챗봇 개발 및 수학교육적 성능 분석 = Development of a customized GPTs-based chatbot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analysis of its educational performance in mathematics 권미선 p. 467-484

학생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마인드셋 분석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ndset regarding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방정숙, 김리나, 곽기우 p. 485-503

중등수학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전략 및 수준 분석 연구 = A study analyzing statistical reasoning strategies and levels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focusing on comparing two groups using boxplots : 상자그림을 활용한 두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지영명 p. 505-526

중등 예비교사의 교과서 과제 변형 및 수업 실행 중 나타난 과제의 특징 변화 = Investigating how the tasks’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modifying the textbook tasks and implementing the lesson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focused on the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s : 수학적 모델링 관점을 중심으로 정혜윤, 이지현 p. 527-547

생성형 인공지능의 수학 문제 풀이에 대한 성능 분석 = Analysis of generative AI’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erformance : focusing on ChatGPT 4, Claude 3 Opus, and Gemini Advanced : ChatGPT 4, Claude 3 Opus, Gemini Advanced를 중심으로 오세준, 윤정은, 정유진, 조윤주, 심효섭, 권오남 p. 549-571

AI 기반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AI-base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focusing on the role of AI and teachers : AI의 역할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윤정은, 권오남 p. 573-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