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디지털·AI 기반 교수·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5종의 예제와 문제 풀이에 대한 ChatGPT 4, Claude 3 Opus, Gemini Advanced의 수학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총 1,317개 문항에 대해 전체 정답률과 기능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ChatGPT 4의 전체 정답률이 0.85로 가장 높았고, Claude 3 Opus가 0.67, Gemini Advanced가 0.42 순으로 나타났다. 기능별로는 함수 구하기와 증명하기에서 세 모델 모두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설명하기와 그래프 그리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특히 경우의 수 세기에서 ChatGPT 4와 Claude 3 Opus가 1.00의 정답률을 보인 반면, Gemini Advanced는 0.56으로 낮았다. 또한 모든 모델이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설명하기와 이미지 생성이 필요한 문제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각 AI 모델의 강점과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수업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의 수학적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실제 수학 수업에서의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의 수학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생성형 AI와 교사의 협력적 교육 모델 개발, AI를 활용한 개별화 학습 방안 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다.
As digital·AI-based teaching and learning is emphasized, discussions on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are becoming more a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of ChatGPT 4, Claude 3 Opus, and Gemini Advanced on solving examples and problems from five first-year high school math textbook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correct answer rat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kill for a total of 1,317 questions, ChatGPT 4 had the highest overall correct answer rate of 0.85, followed by Claude 3 Opus at 0.67, and Gemini Advanced at 0.42. By skills, all three models showed high correct answer rates in ‘Find functions’ and ‘Prove’, while relatively low correct answer rates in ‘Explain’ and ‘Draw graphs’. In particular, in ‘Count’, ChatGPT 4 and Claude 3 Opus had a correct answer rate of 1.00, while Gemini Advanced was low at 0.56. Additionally, all models had difficulty in explaining using Venn diagrams and creating imag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eachers should identify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ach AI model and use them appropriately in cla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e in actual classes by analyzing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of generative AI. It also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defining the role of tea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cooperative educational model between generative AI and teachers and to study individualized learning plans using AI.*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