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여성사적 관점에서 『婦女鑑』과 『幼學綱要』에 나타난 학문적 성취를 이룩한 인물표상을 비교함으로써, 19세기 말 일본에서의 문명 전환과 지적 생태계의 확장 과정을 탐구하였다. 당시 일본에서 학문에 대한 열정은 사회적 기여와 개인적 성취가 결부되어 바람직한 인간의 주요 요소로 여겨져 왔다. 학문적 성취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위를 확장하고 정체성을 함양하는 여성 표상은 『婦女鑑』을 통해 부각되었으며, 이는 『幼學綱要』의 남성학자들의 모습과 어울리면서도 『幼學綱要』에서 다루지 않은 서구학문을 적극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리하여 당시 일본의 문명이 중국 중심의 가치 체계에서 서양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幼學綱要』에서 중국 사상은 ‘고전’으로 자리 잡으며, 이는 일본의 역사적 맥락에서 과거 중국의 지식 체계가 완결된 형태로 재현되는 방식을 통해 명확해진다. 즉, 기존의 사유에서 벗어나 다음 단계의 문명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각의 전환으로 해석된다. 게다가 『婦女鑑』에는 학문적 성취와 자부심, 성별 한계의 초월, 과학적 발견에 대한 열망 등이 표상된다. 이는 ‘양처’와 ‘현모’가 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하는 교육적 지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婦女鑑』을 통한 여성 롤모델의 발굴은 실제 여학생들의 사회진출 및 세계관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繪畵史 形成의 裏面 = An aspect of art history : the paintings and reputation of Li Sixun and Li Zhaodao : 李思訓·李昭道의 명성과 模作 朴慧美 p. 5-40

생태적 관점으로 본 조선시대 말과 목장 그림 =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orses and ranch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Mokjangjido” (1678) : 『牧場地圖』(1678)를 중심으로 劉宰賓 p. 41-76

강희제는 어떻게 朱載堉의 樂律을 부정했나 = How did emperor Kangxi reject Zhu Zaiyu's music theory? : the competition for the restoration of true music theory and true measurement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 명청대 眞律·眞尺 재현의 경쟁 文重亮 p. 77-109

생태환경의 시각에서 본 조선 시대의 미술 = Art of the Joseon Dynast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 focusing on Yu the Great Controlling the Waters and Painting Album of Dredging the Stream : <大禹治水圖>와 《濬川稧帖》을 중심으로 徐胤晶 p. 111-153

錦舲 朴永輔 『燕槎小草』 연구 = Study on Geumryeong Bak Yeong-bo’s YeonsaSocho 林映吉 p. 155-188

여성사적 관점에서 본 19세기 말 일본의 문명 전환과 지적 생태계 확장 = Transition of civilization and expansion of intellectual ecosystem in late 19th century Japan from a perspective of women’s history : a comparison between representations in Hujyokagami and Yōgakukōyō : 『婦女鑑』과 『幼學綱要』의 표상 비교 朴是彦 p. 189-219

太谷敎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aigujiao(太谷敎) : why is it considered popular Confucianism(民間儒敎)? : 왜 民間儒敎인가? 李姸承 p. 221-256

『구축된 도시 권력 공간』 = “Builded Urban Power Space” : focusing on urban renovation projects in Hsinking during the Manchurian period : 만주국 시기 신경의 도시개조사업을 중심으로 宋硯軒 p. 257-296

자연재해[水害]와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 Natural disaster and financially-poor irrigation association(IA) : case study of Imjin IA & Jinnam IA in Imjin-River basin, colonial Korea : 臨津江하류 兩岸[坡州·長湍]의 ‘不良水利組合’ 사례 鄭勝振 p. 297-337

朝鮮畵廊의 전시와 매매 활동 : 미술장에서의 구상화가 지원과 미술대중화의 시도 徐有利 p. 339-378

심산 생가 신자료의 현황과 가치 = Status and value of Simsan’s documents 張裕昇 p. 38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