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배경: 자연살해세포는 선천면역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직접적인 세포독성과 사이토카인 분비 역할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주로 CD56과 다른 표지자들의 발현에 따라서 구분되는, 면역표현형과 기능이 다른 다양한 하위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살해세포는 일반적으로 B세포 표지자인 CD19를 발현하지 않지만, 드물게 CD56+CD19dim 자연살해세포의 존재가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이들의 특성과 기능은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방법: 저자들은 CD56+CD19dim 자연살해세포의 존재에 초점을 맞추어, 3년 동안의 말초혈액 림프구아형검사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별된 환자들의 신선한 말초혈액 샘플을 이용하여, 심층적인 면역표현형 분석과 기능적 프로파일링을 시행했다.
결과: 그 결과, CD56+CD19dim 세포는 일부 자연살해세포 표지자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자연살해세포와 유사하였지만, CD94, CD158b의 높은 발현과 NKp30의 낮은 발현 같은 고유한 발현 패턴을 보였다. CD19는 CD56+CD19dim 세포에서 유일하게 발현되는 B세포 관련 표지자였다. Granzyme B, Perforin, CD107a, IFN-γ, 그리고 MIP-1β를 포함한 기능 검사에서는, 세포독성 및 사이토카인 분비 능력에 있어 CD56+CD19dim 세포와 일반 자연살해세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11명의 환자 중 17명(1.68%)에서 시행한 총 40회의 림프구아형검사에서 CD56+CD19dim 자연살해세포가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전체 림프구의 0.10–24.70% (IQR 1.40–4.70%, 중앙값 2.20%)를 차지했다.
결론: 결론적으로, CD56+CD19dim 세포는 고유한 표현형적 특성을 가진 독특한 자연살해세포의 하위집단이다. CD56+CD19dim 세포로 인하여 드물게 림프구아형검사나 B세포 림프모구백혈병의 미세잔존질환 검사에서 오판독이 발생할 수 있고,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해당 아형을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