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배경: 정렬을 통한 참조유전체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대안으로 리프트오버 도구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삽입/결실(insertions/deletions, indels) 변이의 경우, 유전체 어셈블리 간의 대립유전자 차이가 정확하게 반영되지 못해 리프트오버 도구를 통한 변환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최근, 삽입/결실 변이의 유전체 변환을 지원하기 위해 BCFools/liftover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CFools/liftover를 통한 삽입/결실 변이의 유전체 변환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Genome Reference Consortium human (GRCh) 37 및 GRCh38 참조유전체에 정렬된 두 개의 variant call format (VCF) 파일을 ClinVar (https://ftp.ncbi.nlm.nih.gov/pub/clinvar/)에서 다운로드하였다. 총 23,419개의 ClinVar 삽입/결실 변이를 분석하였다. 참조유전체 GRCh37에서 GRCh38로 변환을 위한 리프트오버 도구로 BCFtools/liftover를 사용하였다. GRCh38에 정렬된 변이의 위치 및 대립유전자 정보를 기준으로 리프트오버된 변이의 변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분석 대상 변이가 반복서열 영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UCSC의 RepeatMasker 트랙 정보를 활용하였다.

결과: GRCh38에 정렬된 변이 중 8개(0.03%)의 변이는 리프트오버된 변이 리스트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Multiallele 변이(n=19)를 포함하여 리프트오버된 변이 20개의 명명(nomenclature)은 GRCh38에 정렬된 변이의 명명과 일치하지 않았다. 반복서열 영역에 위치한 삽입/결실 변이의 대부분(99.82%)은 BCFtools/liftover을 통해 성공적으로 변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삽입/결실 변이의 유전체 변환을 위한 BCFtools/liftover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BCFtools/liftover는 반복서열 영역에 위치한 삽입/결실 변이의 유전체 변환에 정확하게 작동하였다. 하지만 삽입/결실 변이가 Multiallele 변이로 변환될 때 BCFtools/liftover를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검출능의 평가 및 설정 = Evaluating and establishing detection capabilities 조주영 p. 275-286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급성림프모구백혈병 미세잔존질환 검사의 해석과 결과 보고에 대한 권고안 = Interpreting and reporting minimal residual disease testing data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patient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김미영, 추대현, 조영욱 p. 287-296

혈액암 체세포 변이의 해석과 보고에 대한 권고안 = Recommendations for interpretation and reporting of somatic variants in hematologic malignancies 윤정, 박민승, 김보람, 이재준, 김현영 p. 297-310

PALB2 생식세포 병원성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의의 = Clinical significance of PALB2 pathogenic germline variant 강민채, 박종은, 장미애, 원동주, 박보영, 이시연, 이동옥, 유금혜, 장윤정, 공선영 p. 311-320

백혈구감소증 검체에서 디지털 세포형태 분석기 UIMD PBIA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 Assessment of clinical utility of digital morphology analyzer UIMD PBIA in leukopenia samples 김현우, 유은경, 이자영 p. 321-329

Improvement of clinical diagnosis accuracy of Alzheimer’s disease using multiple blood biomarkers = 다중 혈액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알츠하이머병 임상 진단 정확도의 향상 Hunjong Na, Ki Young Shin, Dokyung Lee, Changsik Yoon, Sun-Ho Han, Jong-Chan Park, Inhee Mook-Jung, Jisung Jang, Sunghoon Kwon p. 330-338

국내 바이러스 검사 건강보험 행위 등재 및 수행 현황 = Current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n viral tests in Korea 정세리, 김창기, 박윤희, 방해인, 성흥섭, 유수진, 김현수 p. 339-347

Unusual CD56+CD19dim cells with natural killer cell characteristics = 자연살해세포의 특성을 보유한 특이한 CD56+CD19dim 세포 Gyujin Lim, Eunbin Chong, Eunsang Suh, Mijeong Jeong, Duck Cho, Eun-Suk Kang p. 348-357

Synovial calprotectin as a biomarker for distinguishing septic arthritis from non-septic arthritis = 화농성 관절염과 비화농성 관절염을 구별하기 위한 지표로서의 관절액 Calprotectin : 예비 연구 : a preliminary study Eunhee Han, Eun-Jee Oh, Soyoung Shin p. 358-363

Genomic characterization of STX16 deletion in pseudohypoparathyroidism = 가성부갑상샘저하증에서 STX16 유전자 결실의 유전적 특성 규명 Man Jin Kim, Jee-Soo Lee, Sung Im Cho, Moon-Woo Seong p. 364-368

Analysis of follow-up real-time RT-PCR results from SARS-CoV-2-positive patients = SARS-CoV-2 Real-Time RT-PCR 양성 환자에서 추적 PCR 검사 결과 분석 Eun-Hyung Yoo, Chang-Ho Jeon p. 369-375

ClinVar Indels의 유전체 변환을 위한 BCFtools/liftover의 적용 = Applying BCFtools/liftover for genome conversion of ClinVar indels 박경진, 박종호, 유은경 p. 376-381

간이검사 및 현장검사의 국내 사용 실태와 품질관리 현황에 대한 조사 = A survey on the utiliz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handy tests or point-of-care in vitro diagnostic tests in Korea 유수진, 최리화, 박형두, 전사일, 엄태현 p. 382-390

Multiple myeloma presenting as a spheno-orbital plasmacytoma and improper serum separation = 부적절한 혈청 분리 현상을 보인 접형-안와 골수종으로 나타난 다발성 골수종 증례 보고 : a case report Youngjin Youn, Eun Hye Cho, Min-Seung Park, Min-Jung Kwon, Hee-Yeon Woo, Hyosoon Park p. 391-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