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고대 일본에는 문자가 없었다. 즉, 무언가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모방’하는 것이 중요했다. 거기에는 독학도 없었고, 체계화된 ‘배움’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문자가 생기면서 ‘학문’에 대한 의미가 무거워진다. 그것은 깊은 사고를 필요로 하는 ‘학문’으로 변화해 갔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에도시대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마나비’의 구체적인 실천은 『]논어』를 활용하여 실현하고자 했다. 이토 진사이(伊藤仁斎)는 ‘학(學)’을 모방한 것으로 보았지만, 오규 소라이(荻生徂徠)는 배움의 목적을 ‘선왕의 도를 배우는 것’이라고 했다. ‘학(學)’은 ‘익히는 것’, ‘지식’으로 해석되어 에도시대 후기에는 ‘학’은 ‘지’에 속하고, ‘습’은 축적된 ‘학’(지식)을 표출하는 ‘행’에 속한다는 개념이 형성된다. 이는 ‘학’이 사물을 기억하고 깨닫는다는 개념이었던 주자의 해석에서 양명학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점차 ‘학=지식’, ‘습=행’이라는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메이지 시대에는 서구의 단어가 수입된다. 시부자와 에이이치는 지행합일을 배경으로 논어를 실천윤리로 살리는 것에 대해 언급한다. 시부자와는 ‘학=실천을 위한 지식’으로 보고, ‘학’과 ‘습’은 일체가 되어야 하며, ‘습=실천’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한편, 마찬가지로 서구의 말을 접한 서주는 지행합일을 언급하면서도 ‘학’과 ‘행’을 분리하여 파악한다. 특히 ‘학(學)=학문(學問)’으로, 사물의 심리를 추구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과 구분한다. 이후 ‘학’은 일상과 괴리된 진리를 추구하는 것으로 발전해 나간다.

古代日本には、文字がなかった。つまり、何かを習得するためには、相手のことを「まねる」ことが重要となる。そこには、独習もなく、体系づけられた「学び」を行うことができない。しかしながら、文字がもたらされると、「学」に対する意味合いが重くなる。それは、深い思考を必要とする「学」へと変化していったと考えられる。それは、江戸時代にとくに顕著に表れる。「まなび」の具体的実践は、『論語』を利用することによって実現していこうとした。伊藤仁斎は、「学」を模倣としているが、荻生徂徠は学びの目的を「先王の道を学ぶ」としている。「学」は、「身につける」「知識」と解釈され、江戸時代の後期には、「学」が「知」に属し、「習」が蓄積した「学」(知識)を表出する「行」に属するという概念が形成される。これは、「学」が物事を覚え、悟るという概念であった朱子の解釈から陽明学の影響を受けて変化したと考えられる。そして、次第に、「学=知識」、「習=行」というイメージとなっていったと考えられる。

さらには、明治時代では、西欧の言葉が輸入される。渋沢栄一は、知行合一を後ろ盾として、論語を実践倫理として生かすことに言及をする。渋沢は、「学=実践のための知」と捉え、「学」と「習」は一体であるべきで、「習=実践」と捉えていたのであろう。一方で、同様に西欧の言葉に触れた西周は、知行に言及するも、「学」と「行」とを分節して捉える。とくに、「学=学問」で、物事の心理を追求するものとし、日常生活とは、一線を画する。その後は、「学」は、日常生活から乖離した真理を追究するものへと発展していく。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疑心을 超越하기 또는 享有로서의 사랑 = 疑いを超える、または享有としての愛 : 『金鰲新話』と『剪燈新話』との比較を中心に : 『金鰲新話』와 『剪燈新話』의 比較를 中心으로 윤채근 p. 9-29

1761년 조선 사신단의 청 문묘제도(文廟制度) 이해 = 1761年朝鮮使臣団の淸の文廟制度に対する理解 김문식 p. 31-58

동아시아 서적교류 현존자료의 사례와 유형 = 東アジア書籍交流現存資料の事例と類型 : 日本早稲田大学図書館所蔵朝鮮刊本と朝鮮本の刊行資料 : 일본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 조선간본과 조선본 간행자료 옥영정 p. 59-91

중세 불교 사원의 남색 정당화 담론 고찰 = 中世の仏教社院における男色の正当化言説の考察 : 僧侶と稚児の男色を中心に : 승려와 지고(稚兒)의 남색을 중심으로 이경화 p. 97-114

日本における「学び」の解釈 = 일본에서의 「学び」의 해석 : 『論語』의 学而편의 「學」의 해석을 예로 : 『論語』の学而篇の「學」の解釈を例として 重信あゆみ p. 115-136

다이쇼 데모크라시기의 국가론과 진화론 = 大正デモクラシー期の国家論と進化論 : 大山郁夫を中心に : 오야마 이쿠오(大山郁夫)를 중심으로 김병진 p. 137-161

근대적 학술로 재편된 양명학의 국가주의적 변용 = 近代的学術に再編された陽明学の国家主義的変容 : 井上哲次郎の「日本陽明学派の哲学」研究 :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일본 양명학파의 철학』 연구 이인화 p. 163-186

특권화된 원폭/피폭과 ‘국민적 기억’ = 特権化された原爆·被爆と‘国民的な記憶’ : 太田洋子と井伏鱒二を中心に : 오타 요코(太田洋子)와 이부세 마스지(井伏鱒二)를 중심으로 최은수 p. 187-205

일본 페미니즘의 언설 상황과 사상적 과제 = 日本フェミニズムの言説状況と思想的課題 노병호 p. 207-236

「후나벤케(船弁慶)」를 통해서 본 노부미쓰(信光)의 사실적 표현 연구 = 「船弁慶」からみる信光の事実的な表現研究 임찬수, 김정임 p. 239-260

도시공간으로서의 유곽과 샤레본(洒落本)의 세태풍자 = 都市空間としての遊廓と洒落本の世態風刺 : 『跖婦人伝』の老荘思想受容を中心に : 『세키후진덴(跖婦人伝)』의 노장(老荘)사상 수용을 중심으로 이충호 p. 261-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