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청일전쟁의 서술체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다. 2024년은 청일전쟁 개전 130주년으로, 이 전쟁은 한반도와 만주에서 청나라와 일본이 벌인 전쟁으로 동북아시아의 조공질서 붕괴와 서구열강 중심의 근대 외교체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청일전쟁은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의 완성과 아시아 평화를 위한 ‘정의의 전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중국과 한국에서는 열강 침략으로 인해 국제적 영향력을 상실한 결정적 사건으로 인식된다.

청일전쟁은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한국 사회 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이 전쟁에 대한 기억은 승전국 일본에 의해 왜곡되어 한국의 입장은 배제되었다. 한국 학계와 사회는 청일전쟁을 동학농민운동 및 갑오개혁과 밀접하게 연관 지어 복합적으로 인식한다. 갑오개혁은 침략적 환경에서 추진되었으나 자주국가 지향이라는 의의를 가지며, 동학농민혁명은 반외세와 반봉건을 주장한 민중운동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당시 조선 정부가 일본과 협력하여 농민군을 탄압한 사실은 일본의 침략에 대한 한국 사회의 입장을 모호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해, 그동안 발간된 『동아시아사』 교과서 및 교육과정, 집필기준 등을 분석하여 청일전쟁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역사적 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동북아시아 근대사 속에서 청일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교수해야할지 검토했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2025년부터 사용될 『동아시아 역사기행』 교과서 집필 및 교육에서 고려해야할 점들을 ‘청일전쟁의 배경을 어디까지로 설정할 것인가’, ‘어떠한 조약들을 제시할 것인가’, ‘경복궁 점령 사건의 의미는 무엇인가’, ‘동학농민군과 조선군의 충돌을 어떻게 교수할 것인가’, ‘청일전쟁 당시 저항의 연대는 없었는가’ 등으로 제안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실행된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속에 녹아 있는 배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문해 양상 = Early childhood teachers' literacy aspects of 'learning embedded in play' in the enacted curriculum 김은정 p. 5-30

한국형 에니어그램과 Co-Active 코칭 프로그램이 여성 한부모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Korean enneagram and Co-Active coaching program effects of female single parents on self-esteem and parenting attitudes 라성윤 p. 31-62

도덕지식과 도덕품성의 합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ity of moral knowledge and moral character : focusing on Mencius' interpretation of Zhiyan and Yangqi : 맹자의 ‘지언과 양기’ 해석을 중심으로 배병대 p. 63-78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관점에서의 리빙랩(Living Lab) 교육 효과성 연구 = Assessing the pedagogic impact of living lab-based classes from a student agency perspective : a case study : A대학 사례 송해영, 한송이 p. 79-102

저출산 초고령사회의 시니어 전문 태권도 사범 제도 도입의 필요성 인식 연구 =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system for senior taekwondo instructors in a low birth rate and super-aging society 신명희, 정일영, 양명모 p. 103-116

지방 소도시 여대생의 진로탐색 경험 분석 = The analysis of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mall provincial cities : focusing on multi-layered disparities and self-perception in the labor market : 다층적 격차와 노동시장 내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신하영, 이정인 p. 117-135

미국 성인교육제도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American adult education system 양흥권 p. 137-154

‘조용한 휴가(Quiet Vacationing)’의 원인과 건설적인 방안 탐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xploring the causes and constructive solutions of 'quiet vacationing' 전종희 p. 155-175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요인 = Latent profile analysi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정미현 p. 177-196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공동체의식 교육 연구 = A study of community consciousness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ity curriculum 조광원 p. 197-219

지속가능발전교육 중 고령화 사회 이슈를 중심으로 한 교육연극 교수·학습안 개발 과정 연구 = Focusing on aging society issues amo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educational theater : focusing on a qualitative ethnography method : 질적 문화기술지 방법 중심으로 조희연, 안지언 p. 221-244

도덕과 교육에서의 군자론적 인격교육 방안 = A plan for Saramdaum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the wise man in moral education 지준호, 황종원 p. 245-261

내러티브 방법론을 활용한 유교 인성교육 연구 = A study on Confucian personality education using narrative methodology 최복희 p. 263-276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청일전쟁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Sino-Japanese War in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송웅섭, 홍문기 p. 277-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