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1970년 서울대 의과대학 내 학생운동 단체로 출발하여 활발한 사회활동을 전개한 사회의학연구회(사의연)를 중심으로 1970~80년대 한국에서 ‘사회의학’이 실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사의연은 사회비판적인 입장에서 의학 및 의료인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사회의학’을 문제의식으로 표명했다. 이들은 ‘사회의학’ 개념을 ‘지역사회의학’과 구분하면서 저항 내지 현실변혁 운동의 의미로 인식했다. 1970년대 학생운동에 대한 당국의 탄압이 강화되며 조직이 지하화되었으나, 노동자·농민·도시빈민, 즉 ‘민중’을 위한 의학으로서 ‘사회의학’에 대한 지향은 계속되었다. 1980년대 사의연은 현실에서 사회의학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했고, 이는 1986년 신천연합의원 설립으로 이어졌다. 반농반도시 시흥 지역에 설립된 신천연합의원은 복음자리 빈민운동과의 연계 속에서 의료서비스에서 소외된 계층을 대상으로 의료를 제공했고 여타 ‘사회의학’ 의료기관과 보건의료 운동단체들을 지원했다. 비록 1980년대 말 사회적 변화 속에서 신천연합의원은 더 이상 사의연의 조직적 구심점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었으나, 사의연의 활동과 그 귀결로서 신천연합의원은 ‘사회의학’이 1970~80년대 한국의 실천적 보건의료계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독해되었음을 보여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세기 말 시흥지역 개신교 전래 과정 연구 = Examining the introduction of Protestantism in Siheung in the late 19th century 김혜원 p. 11-40

1910년대 초반 석장둔 인근 간척지 소유 양상 = Ownership patterns of reclaimed land near the Seokjang state farm in the early 1910s 김한빛 p. 41-69

1914년 경기도 군·면 통폐합 논의와 계획 수립 = The discussion and planning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of Gyeonggi-do in 1914 : a case study on Siheung-gun and its Myeon units : 시흥군 및 소재 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원식 p. 71-108

1920~30년대 후반 소래 지역의 성쇠와 지역사회의 대응 = The rise and fall of the Sorae area and the activitie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1920-30s 박정민 p. 109-135

1970~80년대 ‘사회의학’의 실천과 신천연합의원의 설립 = The practice of ‘social medicine’ in the 1970-80s and Sincheon Union Hospital 홍수현 p. 137-170

1970~80년대 시흥지역 도시빈민 운동의 성장과 진화 = The growth and evolution of urban poor movements in the Siheung area from the 1970s to the 1980s 이동원 p. 171-204

춘추전국부터 한대 초엽의 오자서(伍子胥) 형상 고찰 = Image of Oh Jaseo (伍子胥) from the Spring and Autumn-Warring States Period to the early Han (漢) Dynasty : re-reading <Oh Jaseo Yeoljeon> (伍子胥列傳) of Sagi (史記). 1 : 『사기』(史記) 「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 다시 읽기. 1 김월회 p. 207-248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交友論) 판본과 전승에 관한 소고(小考) = A short introduction to the codices of Matteo Ricci’s Jiaoyoulun (交友論) 김기훈 p. 249-270

퍼포먼스의 수사학을 위하여 = Pour une rhétorique de la performance : Une étude sur la vision théâtrale de Molière : 몰리에르 연극론에 관한 고찰 신은영 p. 271-307

‘인간적인’ 도축법과 ‘잔인한’ 유대교 도축법(Schächt) = “Humane” slaughter and “cruel” kosher slaughter (Schächt) : controversy over kosher butchering in Hamburg in Imperial Germany : 함부르크 사례로 본 독일 제정기 도축법 논쟁 송충기 p. 309-338

소련의 국제보건기구(WHO) 탈퇴 배경 재고 = Rethinking the Soviet Union’s withdrawal from the WHO in 1949 노경덕 p. 339-367

약한 교육 = Weak education : diagnosing the diagnoser : 진단하는 자에 대한 진단 박선주 p. 369-396

종말론과 기쁨 = Apocalypticism and joy : rereading the environmental rhetoric of Silent Spring : 『침묵의 봄』의 생태 수사 다시 읽기 임지원 p. 397-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