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외래진료 서비스 이용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증가하는 장애인 의료적 욕구에 부응하고, 장애인의 외래진료 서비스 이용을 설명하기 위해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 행동모형의 타당성을 확인을 위한 전환점이 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포괄적 의료서비스 이용 대신 외래진료 중심의 서비스 이용을 분석하였고, 연구모형과 분석모형이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모형으로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 행동모형을 사용하였고, 분석모형으로 패널포아송모형과 패널음이항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나이, 경제적 어려움 정도, 의료서비스 접근성, 건강상태, 만성질환, 처방약 복용, 보건의료비 지출이 외래의료서비스 이용률과 관계가 있었다. 공헌점 및 기대효과: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 행동모형은 장애의 사회적 모형보다 접근성 요인과 사회복지의 PIE모형에 더 적합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각가치가 중국 젊은 층의 중고명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secondhand luxury goods by young people in China Hao Linguan, Huang Fei p. 7-33

(A) study on the creation of popular culture brand based on 'big marketing' = '빅 마케팅'에 기반한 대중문화 브랜드 창출에 관한 연구 Wu Yongjie, Wu Liyao p. 35-60

산업보안을 위한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turnover intention for industrial security : the mediating effect of awareness of organizational support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강현 p. 61-85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국민연금이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firm performance 구본승, 안성희 p. 87-106

1960년대라는 현재의 기원에 대한 문학적 탐구 = A literary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present, 1960s : an exploratory study on Lee Ho-Cheol’s historical novels : 이호철의 역사소설 연구 시론 구재진 p. 107-128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innovative behavior of public employee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oal clarity and role clarity : 목표명확성과 역할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응일 p. 129-156

디지털 태생 고전 학습자의 <심청전> 리텔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 digital-narrative classics learner's retelling of SimCheng-Jeon 김지연 p. 157-179

장애인의 외래진료 서비스 이용 요인 = Factors driving the use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김지혜, 전동일 p. 181-204

미시체계가 청년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icrosystem on loneliness of young people : focus on family and friend system : 가족 및 친구체계를 중심으로 류주연, 김수진 p. 205-230

서울어린이대공원 이용자 인식의 변화 연구 = Analysis of changes in user perception of Seoul Children’s Grand Park : focusing on 2018, 2020, and 2022 : 2018년, 2020년, 2022년 시점을 중심으로 박지영, 이승열 p. 231-254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의 조절 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in social workers 박현진, 김명희 p. 255-277

초등학생의 ADHD 성향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DHD on bullying perpetration inelementary school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형주, 임건영, 송도훈 p. 279-302

들뢰즈의 '생성' 개념과 교육에서의 심미적 체험 = Deleuze's concept of 'becoming' and aesthetic experience in education 손미란 p. 303-325

생태 그림책과 음악활동을 통합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tegrating ecological picture book and music activities 신선희, 정재은 p. 327-357

우울한 성향의 성인을 위한 앱 기반 자기자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pp-based self-compassion program for depressed adults : a preliminary study : 예비적 연구 이서연, 최정원, 이정연, 조수아, 이슬아 p. 359-381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과 인공지능 사용 경험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How digital device usage efficacy and experi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mpact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comparisons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nd older adults : 일반 국민과 노년층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아라, 문창웅 p. 383-417

AI 시대 예비교사 소양교육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 고찰 = A study on the necessity for digital literacy a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AI era : from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erspective :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이은화, 신하영 p. 419-439

관학협력형 리빙랩 수업(배리어 프리 환경 기획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academic cooperation living lab classes (barrier-free planning classes) : focusing on barrier-free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minority human rights issue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 배리어 프리 이해도, 소수자 인권 문제 이해도, 문제해결 역량을 중심으로 이정기 p. 441-464

산업단지 조성 연령과 지역총소득의 관계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ge of industrial complex and gross regional income 이지은 p. 465-485

외국인 어학연수생 대상 한국어교재의 진로교육 단원 내용분석과 교수 방안제시 = Content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uni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language trainees and presentation of teaching methods 이충구 p. 487-515

의과대학 증원과 공공복리에 관한 소고 = A brief study on the public welfare that relate to the increase of medical college quotas : 대법원 2024. 6. 19.자 2024무689 결정 중심으로 전병주 p. 517-543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정책 실행 평가 = Policy evaluation of specialized self-sufficient program for street homeless people using public data : patterns of social welfare service use and policy participation : 거리노숙인의 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유형 주수산나, 정규형, 남기철, 박하영, 이서윤, 송도훈, 이재웅 p. 545-571

청주 시청사 본관동 철거에 대한 참여주체별 시계열 대응 분석 = Time series analysis on stakeholder’s responses to the destruction process of the Cheongju City Main Hall 최종은, 김혜림, 최용락, 황재훈 p. 573-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