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과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하고 있는 취학 전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인 8차년도(2015) 830명의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상관분석을 통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와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 변인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한 후,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각 요인의 타당성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 학업능력은 변인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 학업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유능감은 학습준비도, 학업능력, 학습준비도는 학업능력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은 학업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학업능력에 이르는 경로에서 주요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유․초등 연계 및 가정과의 협력을 통한 초등학교 준비 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bility in early childhoo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readiness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on academic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ta of 830 students in the 7th (2014) and 8th years (2015) of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data came from the Child 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First, skewness and kurtosis were ident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econd, through correlational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were calculated. Third, after checking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ur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each factor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social compet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and school readi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not only directly affected academic ability but also had a major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from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to academic ability through school readiness.

Conclusion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through cooperation and the path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cooperation and famil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on academic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school readiness 김선영, 황희숙 p. 1-17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dys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and parental attachment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in school-age 김지애, 심미경 p. 19-41

중국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nese late school-age children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이중 매개효과 권미나, 손혜령, 이진숙 p. 43-60

중학생의 패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defeat on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우울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혜린, 박주희 p. 61-83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gri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효림 p. 85-105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ocial media use and irrational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김윤희 p. 107-125

성격 잠재계층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유연성의 차이 = Differences in social isolation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by latent personality traits class 심예은, 최은실 p. 127-151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접근에 의한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척도 단축형 개발 = Developing a short version of the comprehensive happines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a hybrid machine learning approach 고은경, 전효정 p. 153-169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in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최류미, 이도영 p. 171-189

미래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청 캠프 운영 사례 연구 = AI literacy and teaching self-efficacy enhancement in future pre-service teachers : a case study of Education Office camp implementation 김미영, 남정미 p. 1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