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의 ‘더(的)’자 구를 구조적인 측면과 문법적인 측면, 그리고 사용 빈도 등에 대하여, 북경어언대학의 코퍼스(BCC) 자료를 근거로 전면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X+的’자 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조사’, ‘성어’ 등과 구를 이루는 다양한 조구를 보였다. 또한 통계 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X+的’자 구가 문장에서의 사용 빈도를 알 수 있었는데 제일 많이 사용된 ‘的’자 구는 ‘명사+的’자 구이며 그다음으로는 순차적으로 ‘동사+的’, ‘형용사+的’, ‘부사+的’, ‘성어+的’, ‘접속사+的’, ‘조사+的’자 구의 순이었다.

문법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X+的’자 구가 중심어를 수식하며 관형어 기능을 하고 일정한 언어 환경에서는 뒤따르는 중심어를 대체하는 기능을 했으며 동시에 각각의 ‘的’자 구가 본연의 특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명사+的’자 구는 특정 언어 환경에서 동사를 수식할 수 있었고, 동사는 일반적으로 동사를 수식할 수 없으나 ‘동사+的’자 구를 이루면 동사를 수식할 수 있었으며, ‘형용사+的’자 구의 일부 중심어는 반드시 ‘的’자 구의 수식을 받아야 했다. ‘부사+的’자 구와 ‘접속사+的’자 구는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생략과 대체의 기능도 했다. ‘조사+的’자 구는 ‘조사’의 성질에 따라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의 기능을 하였으며 어기조사와 ‘的’자가 구를 이루면 단지 화자의 어투를 나타냈다. ‘성어+的’자 구는 서술어의 앞에 사용되어 부사어의 역할을 하였으며, 성어의 내부 구조에 따라 문법적 기능이 변화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유튜브 영상의 북한 이미지 연구 = A study of North Korean imagery in YouTube video content 김민선 p. 7-42

북한 체육문화와 천리마 시대 체육영웅의 탄생 = North Korean sports culture and the birth of sports heroes in the Chollima era : focusing on Ocherk Shin Geum-dan Player : 오체르크 『신금단 선수』를 중심으로 유임하 p. 43-69

현대중국어 ‘더(的)’자 구의 구조 및 문법적 기능 연구 = A syntactic study on the 'de(的)' phrase in modern Chinese 김영옥 p. 73-100

한자어 ‘기별’의 어휘사 = A historical study on the Sino-Korean word 'gibyeol'(기별) 마원걸, 정동매 p. 101-126

청대말기 당회(堂會) 공연 연구 = A study of Tanghui performances in the late Qing Dynasty : focusing on Xitidiao's role : 희제조(戲提調)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진희 p. 127-148

21세기 언론관계에서 정(情)은 여전히 존재하는가? = Does Cheong (情) still exist in 21st century media relations? : focusing on corporate PR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media relations : 기업 PR 담당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희성 p. 149-194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ㆆ’의 음가 및 본질 = The phonological status and essence of 'ㆆ' in late middle Korean 장석, 곽령 p. 195-221

대학생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의도형 요약’ 제언 = Suggestion for 'intentional type summary' for strengthening college student communication competency : around on concepts, methods, and significance : 개념과 방법 및 의의를 중심으로 정우진 p. 223-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