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의 ‘더(的)’자 구를 구조적인 측면과 문법적인 측면, 그리고 사용 빈도 등에 대하여, 북경어언대학의 코퍼스(BCC) 자료를 근거로 전면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X+的’자 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조사’, ‘성어’ 등과 구를 이루는 다양한 조구를 보였다. 또한 통계 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X+的’자 구가 문장에서의 사용 빈도를 알 수 있었는데 제일 많이 사용된 ‘的’자 구는 ‘명사+的’자 구이며 그다음으로는 순차적으로 ‘동사+的’, ‘형용사+的’, ‘부사+的’, ‘성어+的’, ‘접속사+的’, ‘조사+的’자 구의 순이었다.
문법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X+的’자 구가 중심어를 수식하며 관형어 기능을 하고 일정한 언어 환경에서는 뒤따르는 중심어를 대체하는 기능을 했으며 동시에 각각의 ‘的’자 구가 본연의 특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명사+的’자 구는 특정 언어 환경에서 동사를 수식할 수 있었고, 동사는 일반적으로 동사를 수식할 수 없으나 ‘동사+的’자 구를 이루면 동사를 수식할 수 있었으며, ‘형용사+的’자 구의 일부 중심어는 반드시 ‘的’자 구의 수식을 받아야 했다. ‘부사+的’자 구와 ‘접속사+的’자 구는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생략과 대체의 기능도 했다. ‘조사+的’자 구는 ‘조사’의 성질에 따라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의 기능을 하였으며 어기조사와 ‘的’자가 구를 이루면 단지 화자의 어투를 나타냈다. ‘성어+的’자 구는 서술어의 앞에 사용되어 부사어의 역할을 하였으며, 성어의 내부 구조에 따라 문법적 기능이 변화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