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광복 이후부터 1980년까지 국내외에서 발간된 근현대 제주 잡지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까지 수집된 잡지 116종을 대상으로 시기별, 종별, 지역별 분포와 통시적 변화 양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주 지역 잡지의 존재 형태와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주 잡지를 분석한 결과, 시기별 증감 추이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발행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970년대에 정점을 이루었다. 잡지 종별 편수는 공공잡지, 일반잡지, 학술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잡지 중에서는 기관지가 29종, 교지가 31종으로 확인되었다. 학문 분야별로는 문학 분야가 전체 59종(59.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사회과학 분야가 21종(21.2%)로 나타났다.

문학 잡지의 장르별 편수는 기타가 46종(78%)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시가 10종(16.9%)으로 나타났다. 기타 장르는 시, 산문, 논단, 번역문이 혼합된 교지, 동인지, 회지, 기관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제주 잡지 116종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제주와 서귀포 지역이 107종(92.1%)을 차지하여, 제주 잡지 발간이 주로 이 두 지역에서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제주 지역 잡지의 발간 현황과 특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아직 발굴되지 않은 제주 잡지의 실재를 확인하고 그 실체를 확정하는 과정이 더욱 철저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의 유교문화와 詩板에 관한 試論 = A study on Korean Confucian culture and poetry board : traces of poetic sympathy and its types found in poetic exchange by Toegye School scholars : 退溪學派 학자의 酬唱에 나타난 시적 공감과 有形의 자취 김기엽 p. 5-31

한국어 감정동사 연쇄 구문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f emotional verb chaining phrases in Korean language 조경순 p. 33-65

디지털 기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 = Digital interactive storytelling strategies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이경화 p. 67-95

朴趾源 碑誌文 개작 연구 = A study on Park Jiwon’s revisions of epitaphs : focusing on “Epitaph for Mr. Wang, the Chambong” and “Epitaph for Mr. Park, Grandson of Our Clan” : 「參奉王君墓碣銘」과 「族孫贈弘文正字朴君墓誌銘」을 중심으로 김민영 p. 97-129

이성선 시의 물질성과 영원성 = The materiality and eternity of Lee Seong-seon’s poetry 여태천 p. 131-162

로컬리티에서 아메리카까지 = From locality to America : tradition and modernity in Cha Beom-seok’s plays of the 1950s and 60s : 1950~60년대 차범석 희곡에 나타난 전통과 현대 이상우 p. 163-194

근현대 제주 잡지의 지형과 특성 =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eju magazine 황태묵 p. 195-224

母音 “ㅜ”와 대응하는 韓·中·日 漢字音의 대응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ponse pattern of Sino-Korean, Chinese consonants, Sino-Japanese corresponding to the vowel “ㅜ(u)”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omparative distribution table databas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inese consonants for the use of learning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inese consonants : 韓·中·日 漢字音 학습연계 활용을 위한 韓·中·日 漢字音의 통합비교분운표 DB 구축을 중심으로 최지수 p. 225-257

『韓語通』 본문에 서술된 한국어사 관련 주제에 대하여 = On some topics related to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in the Kan'gotsū 허인영 p. 259-291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Acoustic study on Korean monophthongs of Goryeoin immigrant youths 장혜진 p. 293-315

외국인 신입생 대상 학부 한국어 교육과정 개설 현황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freshmen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Seoul with the highest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 유학생 수 상위권 서울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이유경, 장미경 p. 317-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