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1910년대 고유의 전래지명을 간직하고 있는 천안 지역 『조선지지지료』의 지명어들을 1차적인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이른 시기의 한글표기지명이라는 점에서 일찍이 주목받아 온 지명 언어의 자료이다. 2차적으로 『한국지명총람』과의 관련성에서 천안 지역 지명어의 특징을 고찰하여 목적 달성을 도모하였다.

이에 대한 고찰은, 첫째, 본고의 대상인 천안 지역의 『지지』들의 군(郡), 면(面) 및 동리명 체제가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관보 제567호) 이전의 체제인 점을 통해, 천안 지역 『지지』들은 적어도 필사 시기가 1914년 이전이었을 것을 추정하였다.

둘째, 『지지』의 표기 특징은 당시의 표기 규범이라 할 수 있는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과의 관련성에서, ᄋᆞ( /ㆍ/) 및 합용병서, 두음 ㄹ의 표기를 살펴 보았다. 이는 『지지』의 표기 방법을 확인하는 동시에 표기에 가려진 지명 언어의 근원적인 형태를 추정하기 위함이었다.

셋째, 『총람』과의 관련성에서 천안 지역 『지지』에 실려 있는 지명들의 음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음 변이와 관련하여 ‘모음상승, 이중모음의 단모음화’가 대표적이었고, 자음 변이와 관련하여서는 ‘조음위치동화, 구개음화, 유음의 비음화’ 등이 대표적이었다. 여기에는 천안 지역의 방언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이’모음 역행동화, ‘외〉에〉이’의 변이 등도 소수 발견되었다. 반면 일상어에서와 달리 ‘어~우, 애~이’등처럼 지명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이한 변이도 있었다. 이들은 자연음군을 이루지 않는 경우였다.

마지막으로 표기와 음운 변이에 있어 『지지』별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일부 글씨체를 기준으로는 동일인에 의한 필사 가능성을 잠정 예측하였으나, 더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어 『지지』별 필사자가 상이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10년대 천안 지역 『조선지지자료』의 지명에 대하여 = A study on Cheonan toponym of 'Joseonjijijaryo'(朝鮮地誌資料) 김정태 p. 5-36

구어와 문어의 구분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distinction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 to facilitate digital language content classification : 디지털 언어 콘텐츠 구분의 용이함을 위하여 유세진 p. 37-62

‘느릐다’, ‘늦다’, ‘더듸다’의 의미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semantic change of 'Neuruida', 'Neutda', and 'Deoduida' 이금영 p. 63-87

강원도 절기(節妓)에 대한 기록과 기억 = Records and memories of the gisaengs who keeped the incision in Gangwon-do : focusing on Gyeongchun (瓊春) in Yeongwol and Jeon Gyesim (全桂心) in Chuncheon : 영월의 경춘(瓊春)과 춘천의 전계심(全桂心)을 중심으로 김정은 p. 89-125

Chosŏn echoes of Tang poetry = 조선의 당시 : 시인 이달의 당시 영어 번역에 대한 시론 : translating Yi Tal's Hansi into English Jamie Jungmin Yoo p. 127-161

AR(증강현실)을 활용한 고전소설 콘텐츠 개발 연구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lassical novel content using AR (augmented reality) : focused on <Simcheongjeon> : <심청전>을 중심으로 신효경 p. 163-188

<임경업전>의 비판의식 연구 = A study on critical approaches in Imgyeongeopjeon 윤보윤 p. 189-218

한시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적용과 한계 = Ap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ext mining techniques in classical Chinese poetry 이병찬 p. 219-249

정석교 시의 장소성과 서정적 리얼리즘 = The placeness and lyrical realism of Jeongseok-gyo 류상범 p. 251-281

을 중심으로"> 손창섭 문학의 자연주의적 고찰 = Naturalism in Son Chang-seop's "Gil" : 장편소설 <길>을 중심으로 양미영 p. 283-313

김기택 시의 동물 재현과 윤리적 지향 =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and ethical orientation in Kim Ki-taek's poetry 오수연 p. 315-339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나타나는 ‘아이다움’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childlikeness' on Kim Yu-jeong Literary Award's fairy tale 윤인선 p. 341-366

송영 소설에 나타난 감옥의 기능과 의미 =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prison depicted in novels by Song Yeong 조문형 p. 367-397

엄흥섭 소설에 나타난 젠더 감성과 그 역학 = Gender sensibility and its dynamics in Eom Heung-Seop's novels 최병구 p. 399-426

4·19와 쓰기의 존재론 =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ontology of writing : focusing on the 'narrative point of view' of the 1960s Choi In-hoon and Lee Cheong-joon's novels : 1960년대 최인훈·이청준 장편소설의 ‘서술 시점’을 중심으로 허도경 p. 427-461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Research on the use of generative AI for Korean writing strategy education 이선중, 황성은 p. 463-489

리포트 분석을 통한 ‘인용하기’의 실상 고찰 = A study on the reality of 'quoting' through report analysis 이수곤 p. 491-510

웹소설 산업화에 대응하는 웹소설 교육과 학문 = Web novel education and academics in respons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web novels 이희영, 문정현 p. 51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