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引用標識 ‘하고’의 발달 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後期中世韓國語 시기 ‘ᄒᆞ야’와 ‘ᄒᆞ고’의 용례를 검토하였다. 15세기에서는 有標的 話法動詞와 공기하는 통사적 환경에서 ‘ᄒᆞ야>ᄒᆞ고’ 변화를 확인하였다. 뒤이어 16세기에서 無標的 話法動詞와 공기하는 통사적 환경에까지 문증되는 ‘ᄒᆞ고’에 대하여서는 지속성과 재분석의 기제로 설명하였으며 적용 영역의 확대로 해석하였다. 17세기 이후 인용표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ᄒᆞ고’는 점차 思惟·認知·知覺·包括動詞와 공기하는 통사적 환경으로 적용 영역을 넓혀 갔다. 또한 近代韓國語 시기에 引用構文이 否定文으로 실현되는 환경에서 ‘ᄒᆞ고’가 본동사(인용술어의 기능을 수행하는 포괄동사)의 활용형으로 분석될 수 없음을 否定副司의 수식 범위와 否定敍述語의 논항 구조를 통하여 통사론적으로 논증하였다. 본고에서는 인용표지 ‘하고’의 文法化를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용례를 분석하고 기술함으로써 변화의 과정에 文法史的인 해석을 더하였으며 더 나아가 공시적으로 부정문의 통사 구조를 비교 및 분석하여 ‘ᄒᆞ고’의 문법적 지위가 더 이상 본동사의 활용형으로 분석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피인용문과 인용술어 사이에 놓이는 ‘ᄒᆞ고’가 늦어도 18세기에는 인용표지로서 문법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것이라 조심스럽게 추정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引用標識 ‘하고’의 文法化 =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quotative marker “hago” 李康赫 p. 7-42

조선 科詩와 古詩의 관계 고찰 = Chosŏn exam poetry and the old style poetry 李祥旭 p. 43-77

서정주 詩와 鄕歌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A study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Seo Jeong-ju’s poetry and Hyangga 孔羅晛 p. 79-136

파주 임진팔경과 來蘇亭 詩 고증편 = ‘The Eight Scenic Views of Imjin(臨津八景)’ in Paju(坡州) and ‘The Naesojeong(來蘇亭) Poetry(詩)’ : historical verification 申英美 p. 137-177

한국어-필리핀 타갈로그어 西歐 借用語 비교·대조 연구 = A comparative research of western loanwords in Korean and Tagalog : a list of pseudo-loanword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疑似的 차용어 목록 全芝姸 p. 179-207

全羅南道 求禮郡의 洞里名 形成과 變遷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village names in Gurye-gun of Jeollanam-do : focusing on five villages along the Seomjin River : 섬진강에 접한 5개 읍·면을 중심으로 朴秉喆 p. 209-244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Analysis of the derivation aspects and meanings of North Korean color derivative words : based on color words in the “Joseonmaldaesajeon” (2017)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崔允 p. 245-280

고소설 『최보운실기』의 出版許可願과 檢閱本 原稿 = Publication permit and censored manuscript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Choibounsilgi 兪春東, 咸苔英 p. 281-296

1930年代 모더니즘 텍스트의 알레고리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llegorical aesthetics of modernism text in the 1930s. 3, Focusing on the artistic self-consciousness of Park Tae-won’s early works and the concept of ‘nervous genius’. 3, 박태원 初期作의 예술가적 자의식과 ‘신경쇠약한 천재’ 개념을 中心으로 金政炫 p. 297-337

일제 말기 李泰俊의 自傳的 글쓰기와 그 의미 = Lee Tae-jun’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its meaning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the aspect of essay adaptation and transitional self-searching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 「思想의 月夜」에 나타난 수필 각색의 양상과 과도기적 자기 모색 金容範 p. 339-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