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모성을 분석하여 청소년이 주체로 성장하는 의미를 고찰한 글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가족 이데올로기를 해체한 작품에서 전통적인 할머니의 모성은 청소년을 화해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현대 사회 어머니들의 변화된 다층적 모성이 공존하는 작품에서 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성장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성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 혼란이 야기되는 작품에서 심화된 모성의 영향은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상생의 주체로 살아가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청소년소설에서 청소년이 독립적인 주체로 성장하는 의미는 모성을 기반한 다양한 어머니의 역할에 따른 상호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치유와 성장의 도구로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 연구 = Self-reflective writing as a tool for healing and growth : through textual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from 2022 and 2023 : 2022년, 2023년 성찰 일기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고혜원 p. 5-26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의 한국유학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Korea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focusing on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 외국인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현주 p. 27-46

나천수의 문학적 생애와 로컬리티 연구 = A study on Na Chun-soo's literary life and locality 이동순 p. 47-68
청소년소설의 모성 담론과 청소년의 주체화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discourse of motherhood in adolescent novels and the subjectification aspect of adolescents 박경희 p. 69-100

오월극 <나는 광주에 없었다>의 ‘이머시브 연극’ 지향과 재현 = The orientation to ‘immersive theater’ and representation method in <I Wasn’t in Gwangju> 김지연 p. 101-125
『R.U.R.』과 [메트로폴리스]에 드러난 로봇 표상의 기원 = The origins of robot representation revealed in 『R.U.R.』 and [Metropolis] 한승우 p. 127-163
천주가사 <충효가(忠孝歌)>의 교리 구현 양상에 나타난 문학적 특성과 의미 =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doctrine in the Catholic Gasa <ChungHyoga(忠孝歌)> 김혜진 p. 165-208
조선 후기 고소설에 나타난 불구(不具)의 서사적 형상 =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late Joseon Dynasty novels : sin and retribution : 죄와 벌 백지민 p. 209-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