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행동억제기질이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3~5세 유아 387명과 그들의 어머니들이다. SPSS 25.0 통계 프로그램 및 Hayes(2013)의 Process Macro(모델 4.1)를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행동억제기질 및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행동문제 수준이 증가하였다. 둘째, 유아의 행동억제기질이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 효과를 밝혔다. 특히, 어머니의 과보호가 높을수록 행동억제기질이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는 강화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행동억제기질이 내재화 행동문제를 높이며 과보호 양육이 이러한 경향성을 심화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임을 시사한다. 유아의 행동억제기질이 내재화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유아의 기질을 고려한 양육 환경이 요구되며 어머니의 과보호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예방적 차원의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overprotection in the effect of preschooler's behavioral inhibition on the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The participants were 387 mothers with 3~5 years of age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SPSS program (ver. 25.0) & Hayses’ Process Macro (ver. 4.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preschooler's behavioral inhibition and mother's overprote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in preschooler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overprotection were revealed in the effects of preschooler's behavioral inhibition on the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mother's overprotection,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behavior inhibition on the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chooler's behavioral inhibition increases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and in particular, overprotective parenting is a risk factor that can deepen this tendency. Since preschoolers' behavioral inhibition can lead to internalization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arenting environ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reschoolers' temperament. In addition,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reduce mothers' overprotection are necessa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특수학급 차원의 정서 조절 프로그램이 표적집단 학생의 정서 인식, 정서 조절 능력 및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학생과의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lassroom-wide emotion regulation program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on targeted students' emotion recognitio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efficacy an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박인선, 박지연 p. 1-31

비디오 모델링 기반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based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on social skill in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김예린, 박하늘, 장영선, 윤선아, 김붕년, 허수연 p. 33-63

유아의 행동억제기질이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eschooler’s behavioral inhibition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overprotection :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효과 한정인, 이진숙 p. 65-84

자기결정학습모형(SDLMI)이 초등 2학년 ADHD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academic engagement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DHD 김병룡 p. 85-103

국내·외 인지행동치료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a focus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지민선, 김나연, 전지현, 김민지, 김주선 p. 105-129

대인외상 경험 대학생의 정서인식능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Emotion recogn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김자은, 송현주 p. 131-149

청소년의 공격성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 탐색 = Exploring the trajectory types and predictors of changes in adolescent aggression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성차를 중심으로 권미나 p. 151-165

40대 중년 남성의 반복 확인행동 개선을 위한 행동수정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behavior modification for improving repetitive checking behavior of middle-aged men in their 40s 이경숙 p. 167-184

자폐성 장애를 지닌 중·고등학생의 도전행동 중재 단일대상연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질적지표 분석 = Meta-analysis and quality indicators of interventions for challenging behavio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심다빈, 최미령, 김희진, 김주선 p. 185-214

부모의 통제와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검증 = Th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al control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 the mediating effcet of problem solving ability 김영환 p. 215-227

사회불안 집단의 정서 자극에 대한 크기지각 편향 = The size perception bias of social anxiety group on affective stimuli : using the Ebbinghaus Illusion : 에빙하우스 착시를 활용하여 김한나, 곽호완 p. 229-249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tegrated life cycle access path between training center, majoring course, customized training center, university,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CPDD-MC-CTCPDD-U-LECPDD) = 발달장애인 훈련센터, 전공과, 맞춤훈련센터, 대학, 평생교육센터 간 통합형 생애주기 접근 경로 Kim, Young Jun, Kwon, Ryang Hee p. 251-300

장기입원 알코올중독 중년남성의 삶에 대한 미술 기반 내러티브 연구 = An art-based narrative study on the life of middle-aged men with long-term hospitalization alcoholism 조예림, 최선남 p. 301-3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양육불안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김영은, 이소연 p. 323-341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 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coping : 적극적 대처의 매개 효과 임지혜, 홍정순 p. 343-363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이버 비행의 구조적 관계-우울과 협동심의 다중매개효과 =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smartphone dependence and cyber delinquency in adolescents-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cooperation 홍송희, 김춘경 p. 365-389

나-전달법(I-Messages)을 활용한 기능적의사소통훈련이 자폐 아동과 ADHD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I-Messages on disruptive behaviors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강영모, 김은주, 조정연 p. 391-416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내재화 문제행동이 있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n activity-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concept of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김현정 p. 417-440

행동중재전문가로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연구 =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behavior intervention specialists :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aegu and Gyeongbuk : 대구·경북의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신윤희, 박경옥, 김규희 p. 441-460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보육교사의 발달지체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과 관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he responsive interaction enhancement program on the interaction behaviors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relationship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박명화 p. 461-478

대인관계유능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조현재 p. 479-494

국내 걷기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walking intervention programs in Korea : focusing on emotional enhancement : 정서 증진을 중심으로 진흥신, 조성현 p. 495-515

중학교 1학년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victim and perpetrator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홍향희 p. 517-534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준수, 공마리아 p. 535-556

특수학교 상담교사 배치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placement of counselor in special schools :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incipals of special schools : 특수학교장 대상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이재욱, 최민식 p. 557-578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 절차의 실태와 개선요구 = Curr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diagnosis/evaluation and selection/placement procedur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이소연, 김은경 p. 579-612

기분장애 및 불안장애를 동반한 지적장애인의 중재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A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mpanied mood and anxiety disorders 봉귀영, 장연, 이정아, 최진경, 이숙향 p. 613-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