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중국의 近體詩에 능했던 朝鮮의 문인들도 詞라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참고 도서인 詞籍이 필요하였다. 詞籍은 크게 詞集類⋅詞譜類⋅詞韻類⋅詞評類⋅詞史類⋅詞樂類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창작 활동을 하는 데 있어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은 詞集類에 속하는 詞別集과 詞選集 그리고 詞譜類이다.
成宗 年間에는 晋州에서 元好問의 『遺山樂府』를 출간하였고, 宣祖 年間에는 詞譜類인 活字本 『詩餘圖譜』를 출간하였으며, 正祖가 구입을 희망하는 책 목록을 적어 놓은 『內閣訪書錄ㆍ子集類』에 『宋六十名家詞』40冊 과 『十六家詞』39卷이 적혀 있는 것을 보더라도 朝鮮의 朝廷도 이런 참고 서적의 필요를 인지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서적 구매는 使臣 일행에게만 주어진 특권이고, 朝廷의 刊行本은 발행량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詞에 대한 지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朝鮮에서는 詞籍을 손으로 베껴 쓰는 筆寫本의 유행을 불러왔다.
朝鮮의 筆寫本 詞籍은 원본을 그대로 베낀 것과 원본을 가공한 것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로는 『草堂詩餘』를 꼽을 수 있고, 후자로는 申緯와 金正喜가 編選한 詞選을 들 수 있다.
申緯는 『全唐詩』를 참고하여 『唐詩畵意』제13권과 제14권에 唐五代人 25명의 詞作 91首를 싣고 있다. 이 논문은 조선 후기 詩書畵 三絶로 추앙받던 申緯의 『唐詩畵意』의 필사본의 종류와 그 異同을 살피고, 그 책에 실려 있는 唐五代詞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擅长中国近体诗的朝鲜文人也为了填词, 需要参考书词籍。词籍大致可以分为词集类、词谱类、词韵类、词评类、词史类、词乐类等六类, 但最有助於创作活动的是属於词集类的词别集、词选集和词谱类。
朝鲜在成宗年间出版了元好问的 ≪遗山乐府≫, 宣祖年间又刊行了活字本 ≪诗餘图谱≫, 在正祖希望购买的书目录的 ≪内阁访书录ㆍ子集类≫里有着毛晋的 ≪宋六十名家词≫40册和 孙默的 ≪十六家词≫39卷的书目, 由此看来朝鲜朝廷也认识到了对此类参考书的需求。然而, 由于能够在中国购买书籍是只给使臣一行的特权, 官方出版的书籍数量也有限, 因此在朝鲜流行手抄词籍的风气, 以满足对填词的知识需求。
朝鲜笔写本词籍可分為原封不动的抄本和加工本两种, 前者為 『草堂诗餘』, 后者為申纬和金正喜偏选的词选。申纬根据 『全唐诗』第12涵 第10册的内容, 自选了唐五代人25人的词作91首而收录在 『唐诗画意』第13卷和第14卷 。
本文将对朝鲜后期被尊崇为诗书画三絶的申纬自编的 ≪唐诗画意≫ 的手稿本的种类及其异同进行探讨, 并考察该书选录的唐五代词的特征。*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